<칠십리이웃> 김성도 제주4·3희생자유족회 서귀포시지부회장

“우리는 모든 것을 용서하고 화해를 청했습니다. 이제는 서로 상생할 수 있도록 손을 맞잡았으면 합니다”

김성도 제주4·3희생자유족회 서귀포시지부회장은 화해를 통해 더 이상 4·3의 아픈 흔적을 꼬집지 않았으면 했다.

지난해 4·3위령제가 국가추념일로 지정되고 정부 주관으로 추념식이 봉행되면서 제주4·3 상처 치유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됐고, 4·3희생자 유족들은 가슴속에 담고 있던 한을 조금을 달랠 수 있었다.

하지만 4·3희생자 유족들이 원하던 대통령 참석이 이뤄지지 않았고, 올해도 대통령 불참소식에 희생자 가족들은 가슴 한켠에 서운함을 털어내지 못하고 있다.

김 회장은 “특히 4·3평화공원 위패봉안실에 봉안해서는 안 될 100여명이 있다며 이를 내리라고 정부를 압박하고 있는 소수 단체가 있다”면서 불편한 심기를 나타냈다.

또한 김 회장은 “그동안 여섯 건의 재판을 통해 4·3희생자 심사의 정당성 등을 대법원과 헌법재판소가 인정했다”면서 재심을 하겠다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힘의 논리나 여론재판을 이용해 대통령의 추념식 참석을 방해하는 태도는 상대에게 상처를 주는 경거만동한 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지난 3월22일 우익성향의 변호사 단체에서 4·3평화공원내 전시물이 역사를 왜곡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그들은 4·3에 대한 진압을 반인륜적 학살로 암시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편행되고 불공정한 전시라고 소송이유를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서도 김 회장은 “당시 무장대 색출한다며 계엄령을 선포하고 중산간 마을 초토화 작전을 전개해 제주도 양민들을 집단학살로 붉은 섬으로 만들었다”면서 “1948년 제노사이드 범죄의 방지와 처벌에 관한 국제협약을 무시한 중대한 인권유린”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4·3의 초토화 작전에 참여한 살인자는 국가유공자로 인정받고 있다”면서 “피해자인 유족들은 화해와 상생차원에서 그들을 용서하고 거론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회장은 “유족들은 이미 용서로써 화해를 청했기에 이제는 공을 상대쪽으로 넘겼다”면서 이제는 상생하자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