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eum Tour]문화공간 양

제주시 화북동 거로마을은 오래된 역사가 있는 마을이다. 이곳에 마을의 이야기를 하는 갤러리가 있다. '문화공간 양'

'문화공간 양'은 제주의 안거리, 밖거리가 있는 가옥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공간을 갤러리로 활용했다. 이곳 김범진 관장의 외할머니가 거주하시던 집이었다. 하지만 할머니를 자식들이 모시고 살게 되면서 집이 비워지게 되자, 비워진 집을 어떻게 활용할까 고민하던 찰나, 김연주 기획자와 함께 이곳을 마을 안 문화 공간으로 만들게 됐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단순히 문화예술의 공간이 아니라 마을 안에서 마을과 함께하는 문화 공간이라는 것이다.

2013년부터 시작된 문화공간 양은 문화를 상업적인 시선만으로 바라볼 게 아니라, 조금 더 근본적으로 바라보자는 차원에서 전시기획자와 작가들의 이야기로 탄생됐다.

마을 사람들과 같이, 마을 사람들이 예술을 만나 예술을 통해 삶이 재미있어지면 좋겠다.라는 생각으로 마을과 함께 갈수 있는 것을 생각한다.

안채는 작가들의 레지던시 공간이고 바깥채는 전시공간이다. 또 하나의 건물을 사무실로 사용하며 그곳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전시 방향은 크게 4가지로 △마을과 관련된 프로젝트의 결과물 전시 △ 레지던시에 참여하는 작가들의 개인전 △공모를 통해 전시 지원을 한 작가 개인전 △기획전은 1년에 한 차례로 진행된다.

이곳 레지던시로 참여하는 작가들은 그 기간이 얼마이든지 마을 주민들과 함께 활동한다. 마을 주민과 어르신들 을 위해 단순히 무언가를 보여주고만 가는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다. 마을단합대회, 경로잔치, 화북동 체육대회가 있을 때면 작가들도 마을주민으로서 선수로 참여한다. 마을 어르신 효도관광 때에는 같이 참여해 마을 분들과 어울리기도 한다.

이곳 거로마을에는 마을을 위한 문화 활동이 서서히 스며들고 있다. 그 결과물의 하나로, 마을 주민 한 분은 문화공간 양을 위한 자발적 후원을 해주시기도 한다. 마을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였기에 가능한 일이다.

'문화공간 양'에서 기획해 진행했던 전시 중, 장기적인 프로젝트로 계획하고 있는 것은 분홍섬 공공체라는 이름의 전시다. 이 시대가 갖고 가야할 공동체가 어떤 공동체인가에 대해 고민 해보려는 전시이다. 공동체 얘기를 하다 보면, 제주의 역사를 들여다보고 현재를 들여다보게 된다. 역사에서 아픔을 보고, 하나의 공동체가 아픔들을 어떻게 같이 예술을 통해 치유해 나갈 수 있을까를 돌아보고자 한다.

제주의 공동체 이야기다 보니, 그 속에는 43이야기, 강정문제 등 관련된 이야기가 담겨 있을 수 밖에 없었다. 이제 제주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문제이다. 하나의 공동체, 그 공동체가 회복되는 이야기, 그리고 평화에 관한 이야기 등 다른 나라에서도 충분히 함께 이야기할 소재가 될 것이라 생각해, 장기적인 기획으로 전시를 준비하고 있다.

마을 안에서 무엇을 해나갈 수 있을까를 고민한 것 중에 하나로 마을 주민 60명이 참여해 마을 사람들의 공동체의 상징물인 폭낭 아래 벽화 만들기를 진행했다. 그리고 7월까지 전시 예정인 마을 지도 만들기 원화전인 그리다展을 통해 마을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마을 어르신들이 삼삼오오 모여 전시된 작품을 보며 그들의 어릴 적 추억들을 그림과 함께 끄집어낸다.

예정인 전시로 7월과 8월에 거로마을 사람, 풍경, 행사 등을 만화와 사진으로 기록한 전시인 <거로소사巨老小史>展이 준비되고 있다.

8월과 9월에는 이지영의 개인전으로 발전이라는 명목으로 개발되고 있는 제주도 곳곳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낸 전시가 진행된다.

전시 외에도 문화공간 양에서는 예술과 관련된 주요 미학책과 비평책을 함께 읽고 토론하는 모임인 <인문예술읽기모임>을 진행한다.

예술은 예술을 하는 일부 사람들을 위한 것이 아니다. 예술에 대한 사회의 시선과 일반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사회 전반적으로 신장되어야 할 일이다. 그렇게 되고자 노력하는 한 걸음 걸음을 문화공간 양이 천천히, 차곡차곡 내딛고 있다.

관람시간(화~토 12시부터 6시)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