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평화재단‧연세대 공동 작업…국내외 필진 12명 참여
미국에 대한 구체적 책임 규명과 진실, 정의, 화해 모색
지난 6월 유엔 심포지엄 참석자에게 배포 화제 모아

제주4·3을 다룬 영문 논문집 <제주4·3학살-잔혹함, 정의, 그리고 화해(The JEJU 4‧3 Mass Killing – Atrocity, Justice, and Reconciliation)가 제주4·3평화재단과 연세대학교의 공동작업으로 발간됐다.

브루스 커밍스, 호프 메이, 존 메릴 등과 4‧3전문가 등 12명이 필진으로 참여한 이 책은 본격적인 4‧3 관련 첫 영문 논문집으로, 지난 6월 20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주4‧3 유엔 인권심포지엄’에 참석한 유엔 관계자, 외교관, 국내외 학자들에게 배포되면서 시선을 끌었다.

이 논문집은 4개 파트에 12편의 영문 논문이 실려 있는데, 제1파트는 ‘제주4‧3 학살, 그리고 미국의 책임’, 제2파트는 ‘진실과 정의를 위한 여정’, 제3파트는 ‘기억과 평화의 문화’, 제4파트는 ‘사과, 정의, 그리고 화해’로 구성됐다.

제1파트는 △브루스 커밍스 석좌교수(시카고대)의 ‘제주4‧3 학살에 대한 미국의 책임’ △호프 엘리자베스 메이 교수(센트럴미시간대)의 ‘미국과 유엔, 그리고 제주4‧3사건 : 책임의 이야기’ △양조훈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의 ‘제주4‧3의 진실, 그리고 미국의 역할과 책임’이 실렸다. 주로 4‧3 학살에 대한 미군정과 주한미군사고문단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다뤄지고 있고, 특히 지역의 역사와 전통, 주민 정서 등을 무시한 채 이분법적인 이데올로기 대결만을 상정했을 때 어떤 결과를 빚게 되는가를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제2파트는 △김종민 전 4‧3중앙위원회 전문위원의 ‘제주4‧3이후 70년’ △양정심 제주4‧3평화재단 조사연구실장의 ‘제주4‧3, 학살의 기억과 저항의 시간들’ △김헌준(고려대학교 교수)의 ‘반복된 억압과 제주4‧3: 암울한 시대 속의 투쟁들’ △문경수(일본 리츠메이칸대학교 명예교수)의 ‘공공영역에서의 제주4‧3에 대한 논의’ 등이 수록됐다. 여기서는 50년 가까이 금기, 왜곡, 은폐됐던 4‧3이 어떤 기억 투쟁을 통해 세상에 나오게 되었는지, 보수정권의 탄압에 어떻게 저항했는지를 살폈고, 4‧3 무장 투쟁자들에 대한 역사의 배제도 시정돼야 함을 주장한다.

제3파트는 △ 권헌익 교수(케임브리지대)의 ‘제주의 평화 문화’와 김성례 명예교수(서강대)의 ‘한국 제주4‧3 학살의 포스트-메모리에서 망자를 위치 짓기’ 등 두 편의 논문이 실렸다. 권 교수는 오늘날 유네스코의 평화 구상은 단순히 국가와 국제기구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 아닌, 해당 지역에서 항구적인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역할이 강조된다면서 제주의 평화운동을 주목했고, 김 교수는 대량 학살에 대한 세대 간 전승, 발굴된 유해에 대한 재매장과 후세대의 기억, 폭력, 침묵, 추모의 의미에 대한 현재적인 질문을 던진다.

제4파트는 △김지은 교수(이스턴 메노나이트대)의 ‘공식 사과와 정치적 화해: 노무현 대통령의 사과와 제주의 반응’ △존 메릴(전 미 국무부 동북아실장)의 ‘제주4‧3사건에 대한 반성: 한국의 어두운 역사와 그 시사점’ △박명림 교수(연세대)의 ‘잔혹함, 용서, 그리고 화해: 제주4‧3 학살에서’ 등이 수록됐다. 김 교수는 4‧3에 대한 정부의 사과와 지역 반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존 메릴은 미군정 정책에 문제를 지적하며 미국이 일정부분 책임을 져야한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제주도민들은 이제 ‘제주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진리와 화해, 공존을 향한 놀라운 길을 새롭게 개척하고 있다면서 이런 운동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작업을 공동으로 진행한 양조훈 이사장과 박명림 교수는 서문을 통해 “이제 제주4‧3은 한반도의 화해와 영구적인 평화를 위한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면서 “부디 이 책이 4‧3 학살로 희생된 희생자들의 넋을 조금이나마 위로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10월 조사연구실을 신설 구성한 제주4‧3평화재단은 앞으로 미국자료 조사와 추가 진상조사, 영문 논문집 발간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갈 계획이다.
문의)제주4·3평화재단 조사연구실(723-4368)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