瀛洲吟社 漢詩 連載(영주음사 한시 연재)-19

漢山社長鶴壽(한산사장학수) 한산 사장님 장수를 바라며

▶淸虛 金昌琪(청허 김창기)

瀛洲漢叟待開扉(영주한수대개비) 영주음사 사장님이 사립문 열고 기다리며

訪友相逢美面璣(방우상봉미면기) 찾아온 벗과 상봉하니 얼굴이 환하시네

布德詩壇稱頌滿(포덕시단칭송만) 시단에 덕을 베풀어 칭송이 자자하고

積功碑豎刻書肥(적공비수각서비) 공 쌓으며 세운 비석에 새긴 글씨 많도다

儒林篤睦修仁義(유림독목수인의) 유림들과 돈목하며 인의를 닦으셨고

學界融和解正威(학계융화해정위) 학계와 융화하며 위엄을 여셔네

年月水流身已老(년월수류신이노) 세월이 물처럼 흘러 몸은 이미 늙었으나

餘生壽福仰天祈(여생수복앙천기) 남은 여생 수복하시길 하늘 우러러 빕니다

충남 아산시 신창면 맹사성의 고택이다. 원래 조선 건국 이전에 최영 장군이 살던 집이었다.

 

◉ 解說(해설)

▶文學博士 魯庭 宋仁姝 (문학박사 노정 송인주)

이 시는 청허 김창기 시인이 연세가 90이 넘으신 한산 강영일 영주음사 전 이사장님의 장수를 바라며 쓴 시이다. 이 시 제목 중의 ‘학수(鶴壽)’는 ‘학이 오래 산다.’라는 뜻으로, 장수(長壽)를 축하할 때 쓰는 말이다. 《淮南子·說林訓(회남자·설림훈)》에 보면 “鶴壽千歲(학수천세), 以極其遊(이극기유), 蜉蝣朝生而暮死(부유조생이모사),而盡其樂(이진기락)”이라는 말이 있다. 그 뜻은 ‘학은 천년의 수명을 누리며 그 노님을 다하고, 하루살이는 아침에 태어나 저녁에 죽으며 그 즐거움을 다한다.’이다. 그리고 唐(당) 王建(왕건)의 <閑說(한설)>에 보면 “鶴壽千年也未神(학수천년야미신)”이란 문장이 있다. 그 의미는 ‘학은 천년이 되었는데도 아직 신이 되지 않았다.’이다. 이 두 문장에서 보는 것처럼 학은 수명이 길어 장수하며 오래 살기 때문에 사람들은 장수를 축하하고, 더욱더 오래 장수하기를 기원(祈願)할 때 자주 이 ‘학수(鶴壽)’라는 말을 인용한다. 이 외에, 장수를 기원하는 뜻을 가진 말로는, ‘남산과 같이 장수하다.’라는 ‘수비남산(壽比南山)’이 있고, 또 ‘소나무와 같이 장수하다’라는 ‘수비송령(壽比松齡)’이 있으며, 그리고 ‘거북이와 학처럼 장수하다.’라는 ‘귀학지수(龜鶴之壽 )’라는 표현 등이 있다.

이 시는 수련 1구의 두 번째 자가 평성의 글자로 시작되고 있어서 칠언율시 평기식의 시이다. 운자는 ‘扉(비), 璣(기), 肥(비), 威(위), 祈(기)’로 모두 微(미) 운통(韻統)의 글자들이다.

이 시의 수련, 1구의 ‘漢叟(한수)’는 한산 강영일, 영주음사 전 이사장님을 두 글자로 표현한 것이다. 이 부분에서는 영주음사 전 이사장님이 문을 열고 벗들을 기다리는 모습과 찾아온 벗을 대하고 기뻐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함련에서는 한산 선생님이 평생 살아오신 모습을 읊고 있는데, 이 부분 1구에서는 덕을 베풀며 사셨기 때문에 주변에서 칭송이 자자함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2구에서는 제주 서예가협회 고문이시고, 제주도 및 우리나라 서예계에서 이름을 떨치신 한산 선생님께서 지금까지 공을 쌓으며 비석에 새긴 글들이 많았음을 말하고 있다.

경련에서는 한산 선생님께서는 유림들과 돈목하게 지내셨고, 인의를 닦으시며 학계와 융화하셨음을 말하고 있다. 이 부분에서는 위아래 문장을 정확히 대구(對句)로 구성을 하고 있는데, ‘儒林(유림)-學界(학계)’는 명사와 명사끼리 대를 맞추고 있고, ‘篤睦(독목)-融和(융화)’, 그리고 ‘修(수)-解(해)’ 부분은 술어 성분으로, ‘仁義(인의)-正威(정위)’ 부분은 명사 성분으로 위아래 대(對)를 맞추고 있다.

가끔 연세가 많으신 전 이사장님을 찾아뵈면, 오랜 세월 벗해온 책상을 대하고 고고한 모습으로 시를 짓고 계신다. 가만히 뵙고 있으면 그 모습에서 고아한 학의 모습이 연상될 때가 있다. 전 이사장님은 세월이 흐름 속에 90이란 연세를 넘기셨지만, 시상은 여전히 변함없이 풍부하고 맑으시다.

이 시를 쓰신 淸虛(청허) 선생님도 연세가 이미 90이 넘으신 영주음사 원로이시다. 淸虛(청허) 선생님께서는 자신을 뒤로하고, 오랫동안 한시 활동을 함께 해 온 시붕(詩朋)을 위해 학수(鶴壽)를 축하하며, 장수를 기원하고 있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모습인가. 추운 날씨에 마음을 따뜻하게 녹여주는 훈훈한 정이 느껴지는 시이다.

마지막으로 묵향과 시향을 항상 품고 사시는 영주음사 원로이신 한산 강영일 전 이사장님과 이 시의 작가이신 청허 김창기 선생님의 鶴壽龜齡(학수귀령) 빌며 시 해설을 갈무리한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