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논란 많은 감귤 구조혁신방안
민선 6기 제주도정이 지난달 14일 ‘고품질감귤 안정생산 구조혁신’ 이름으로 획기적인 감귤산업 정책방안을 제시해 관심을 끌고 있다. 이번 감귤 구조혁신 방안은 최근 소비자의 냉담한 반응으로 감귤수요량이 줄어들면서 국민과일이 생존위기에 내몰리고 있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됐다. 이에 따라 위기를 기회를 전환하려면 3대 혁신(의식·품질·유통)을 통한 명품 감귤(맛, 고품질)에 승부를 걸어야 한다는 것이 정책의 추진방향이다.
제주도가 이러한 감귤산업 구조혁신 방안을 제시한 직후부터 감귤농가에서 커다란 반향이 일고 있다. 시장여건 변화에 대응한 시의적절한 방안이란 긍정적 시각도 있지만, 감귤농가의 현실을 외면한 일방통행 정책이란 부정적 시각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감귤농가들은 무엇보다 가공용감귤 수매가 보조금 폐지, 비상품감귤 퇴출, 비상품 유통근절 방안 등에 대해 중점으로 이의를 제시하고 있다.
지난 3일 제주도가 처음 서귀포시 농가들 대상으로 마련한 설명회에서도 이러한 분위기는 그대로 이어졌다. 서귀포시 농가들은 민선 도정이 바뀔 때마다 가공용 감귤대책이 수시로 바뀌는데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 서귀포시 지역에 여전히 소농이 많은 현실에서 가공용 감귤 수매 중단이 이뤄지면 지역경제가 휘청거린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많았다. 비상품 감귤의 시장진입을 차단하려면 오히려 가공용 감귤 수매 보조금을 대폭 인상해야 한다는 획기적 아이디어도 제시됐다. 이외에도 비상품감귤 유통근절에 대해 강력한 제재를 요구하는 의견도 많았다.
제주도는 앞으로 도 전역을 순회하며 농가대표들 대상으로 수차례 설명회를 갖고,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라 한다. 하지만 제주도가 감귤농가와 격의 없는 대화를 나누려면 ‘설명회’가 아닌 ‘토론회’ 방식으로 회의가 진행돼야 한다. 농가들의 우려와 불만이 많은 가공용 감귤정책에 대해서도 농가들의 현실여건을 반영해 보다 탄력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물론 제주도가 획기적으로 제시한 감귤 구조혁신방안의 취지에는 나름 공감하는 구석이 많다. 하지만 구조혁신방안이 연착륙을 위해선 일방통행이 아닌, 농가와의 소통강화가 더욱 중요하다. 감귤농가들을 무턱대고 설득하려는 자세에서 벗어나, 감귤농가들 스스로 동참하도록 여건을 마련하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