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권개입유언비어 등 혼탁선거 우려

2016-02-25     서귀포신문

16일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 공천신청 접수가 마무리되면서 예비후보들간 공천을 따내기 위한 피말리는 접전이 진행중이다.
 

새누리당은 전국적으로 829명 지원, 평균 3.36대1이고 더불어민주당은 온라인 접수를 통해 371명이 지원, 평균 1.51대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제주지역 새누리당은 제주시 갑 선거구가 6대1, 제주시 을과 서귀포시 선거구는 5대1의 경쟁률이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우는 세 선거구 공히 2대1 경쟁으로 공천이냐 탈락이냐 갈림길에서 선택받기 위한 읍소를 거듭하고 있다.
 

아직 선거구 획정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4·13 선거일까지 빠듯한 일정 때문에 각 정당 역시 공천 일정을 서두르는 모습이다.
 

그러나 정당마다 혼란스러운 내부사정, 특히 공천룰을 둘러싼 계파간 줄다리기와 파열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경쟁률이 높은 새누리당 쪽 사정이 비교적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다.
 

새누리당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브리핑을 통해 20대 총선 후보 경선 방안을 발표했다.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과정에서 예비후보자간 합의가 이뤄지면 계획대로 당원 대 일반국민 비율을 3대 7로 해서 여론조사가 이뤄진다. 그러나 예비후보간 합의가 안 되는 선거구에서는 정치신인의 입장을 우선 고려해 원칙적으로 일반국민 100% 경선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라 밝혔다. 또한 비례대표 외에 지역구 후보 공천에서도 원칙적으로 소수자 배려 차원에서 모든 광역 시도별로 최소 1곳, 최대 3곳까지 우선추천제도를 적용키로 잠정 결정했다. 최소 17개, 최대 51개 지역에서는 사실상 전략공천이 단행된다는 얘기에 다름 아니다. 이에 대해 김무성 당 대표는 17일, 선거에서 지는 한이 있더라도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도 속이 타드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현역 의원들에 대한 컷오프가 관건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총선에서 국민눈높이에 맞춘 공천을 이루려면 현역 컷오프 비율을 최대한 높여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는 본격적인 세부 공천경선 기준을 마련하는 작업에 돌입했다. 단 더불어민주당은 과거의 공천에서 관행처럼 굳어져 왔던 현역 의원을 우선시하는 심사는 없을 것이라면서 현역과 신인이 공정하게 경선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국민의당은 17일 선거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키면서 본격적인 총선체제로 들어갔다. 후보 공모는 19일 완료된다. 이번 주 안으로 공천룰 시행세칙을 통해 경선, 전략공천 등의 구체적 적용 방침을 결정할 예정이다.
 

국민의당은 지난 1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 룰 등을 담은 당규를 이미 의결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후보 경선은 여론조사와 당원투표, 숙의 선거인단투표, 숙의 배심원단투표 등 4가지 방식으로 실시된다. 여성청년장애인정치 신인에 대해서는 10~20%의 가산점을 부여하며, 징계를 받은 경우 최대 20%의 감점을 부과하기로 했다.
 

현재 제주시 갑과 을 선거구에서 단독 예비후보가 나서고 있는 국민의당도 앞으로 예기치 못한 변수가 발생한다면, 경선 구도가 어떻게 변화할지 모른다. 두 명의 예비후보가 나선 더불어민주당 역시 경선 불공정 시비에 휘말릴 경우에 또 다른 변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전국에 비해서도 훨씬 높은 평균 5.3대1의 경쟁률을 보이고 있는 새누리당 3개 선거구의 경우는 예비후보자들간 공천 경쟁이 도를 지나치고 있다는 여론이다. 3선의 더불어당 예비후보가 구축해 놓은 아성을 깰 수 있는 후보는 자신밖에 없다면서 혈전 양상을 띠고 있는 제주시 갑과 을의 경우나 16년을 더불어민주당에 내주었던 서귀포시 선거구의 경우에도 온갖 유언비어, 확인되지 않은 관권선거 개입 논란 등 혼탁상황이 점입가경이다.
 

이러한 모습을 지켜보는 유권자들은 다 똑 같다라 말한다. 유권자,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선거운동에 임하는 예비후보는 과연 한 사람도 없을 것인가. 유권자들의 표심, 선택은 바로 그에게로 가 꽂힐 것이다.
 

서로 과거를 들춰내면서 비방하는 꼴불견을 거둬들여야 한다. 4·13 총선과 관련해 제주 검경은 벌써 선거사법 10여 건에 대한 내사를 진행중이라 밝혔다. 허위사실 유포와 흑색선전, 금품살포, 여론조작, 관권 동원 등, 이러한 불법탈법행위는 이제 멈출 때가 되지 않았는가. 공정 선거에 예비후보들이 서로 약속하는 광경, 그리고 진정으로 아름다운 경선에 임하는 모습을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