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다종합사회복지관, 주민복지와 삶의 질 향상 위한 첫걸음

지난 27일, 삼다종합사회복지관 개관 주민복지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회의실 등 공간, 무료 대관하기도 지역사회복지 실천 위해 앞장설 것

2024-08-27     강문혁
서귀포삼다종합사회복지관 전경

동홍동에 위치한 서귀포삼다종합사회복지관이 지난 27일 개관해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 등으로 서귀포지역 주민의 복지 증진과 삶의 질을 향상하고, 지역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사회복지 향상을 위한 첫걸음을 뗐다.

서귀포삼다종합사회복지관(이하 삼다복지관)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열한번째로 건립된 종합사회복지관이며, 서귀포시에서는 동부종합사회복지관,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서귀포시서부종합복지관에 이어 네 번째 건립된 사회복지관이다.

삼다복지관(동홍동 398번지, 연면적 3549)은 서귀포시 동홍동에 위치한 태평근린 공원과 동홍천 사이에 위치해 태평근린 공원과 이어지도록 건축설계가 이뤄졌으며, 2022년 복권기금 103억원, 지방비 32억이 투입돼 2023년도에 완공됐다. 삼다복지관의 운영법인은 제주특별자치도서비스원이고, 5년간 위탁 운영할 예정이다. 수탁기관은 제주특별자치도이다.

삼다복지관은 지하 1층과 지상 3층으로 4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다복지관은 각층 마다 별칭으로 지하층을 아이소랑, 1층을 이웃소랑, 2층을 문화소랑, 3층을 모두소랑이라 부른다.

지하 1층인 아이소랑에는 바깥 작은 공원과 서귀포 시내가 보이는 로비층이 있고, 프로그램실이 위치해 있으며, 1층과 연결되어 있는 계단식 98석 규모의 도서가 있는 전망 카페가 있다. 이곳 로비에는 주민들이 바람이 적혀 있는 바람나무가 설치되어 있고, 영유아 놀이터 들어설 공간과 가족모유수유실이 마련돼 있다.

1층인 이웃소랑에는 자원봉사자들의 쉼터인 주민소랑쉼터, 30여개의 좌석과 2000여권의 책이 비치돼 있는 북카페, 요리 프로그램 조리 공간인 삼다정지 등이 자리하고 있다. 또한 1층 이웃소랑에는 카페 시설이 갖줘져 있는데, 서귀포오름지역자활센터 사업단은 1층 이웃사랑에서 전문카페를 운영할 예정이다.

2층인 문화소랑에는 누구나 신청하며 이용할 수 있는 4개의 프로그램실, 주민들 그림 사진 등의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인 삼다 갤러리, 스크린과 빔을 갖춘 영상회의실 등이 위치해 있다.

3층인 모두사랑에는 모다정 대강당있다. 이곳은 100여명이 참여해 원탁회의를 할수 있는 공간이다. 또한 넓은 전망을 가진 옥상정원이 있다.

작년말에 완공을 마친 삼다복지관은 1월부터 내부시설을 준비하고 4월 하순부터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지역주민이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삼다복지관 공간 중 회의실, 프로그램실, 대강당, 동아리실 등의 무료대관으로 여러 단체가 이용 중이다. 1층에 위치한 공유 주방은 동홍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서 주1회 밑반찬 만들기가 진행중이고, 서귀포종합재가센터에서 어르신 장만들기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서귀포홀로사는 노인지원센터는 생활지원사 교육을 진행했다.

핵가족화 등 환경변화에 따른 1인가구의 고립으로 인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요리프로그램 요리하고 소통하고’, ‘뇌를 깨우는 치매예방 교육’, 가족과 함께 행복찾기 프로그램인 도예활동’, 교육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놀이체육과 보드게임 등을 진행했다. 문화 욕구를 해소하는 노래교실과 줌바댄스도 진행 중이다. 또한 ()부모양육프로그램 나를 위한 방학-알렉산더테크닉’, 여가체험 - 펀 가족 및 이웃과 함께하는 즐거움과 아이의 건강한 식습관을 위한 도전 우리 아이 첫 Mom(), 베이킹 요리등도 진행 중이다.

서귀포삼다종합사회복지관 관계자는 서귀포삼다종합사회복지관은 도내 최초로 공공기관에서 수탁 운영하는 종합사회복지관으로서 공공성을 최우선으로 해 운영된다소외되는 지역주민들이 없도록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차별화된 프로그램(사업) 운영을 통해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위해 앞장서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 27삼다복지관 1층 전망카페에서 개관식이 열렸다. 이번 개관식은 오순문 서귀포시장 등 주요 내빈을 비롯한 주민, 사회복지 종사자 뿐만 아니라 지역 자생단체장이 참석해 개관을 축하했다. 개관식에는 길트기공연, 복지관 라운딩, 체험부스 등이 운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