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해야 할 역사, 제주-인천 학생들의 역사교육 교류
제주도교육청은 이달 31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인천광역시 일원에서 제주 고등학생 19명과 인천 고등학생 20명, 각 지역 인솔 교사 13명이 참여해 인천5‧3민주항쟁과 인천의 역사를 배우는 시간을 갖는다고 밝혔다.
제주도교육청과 인천교육청은 작년 11월 ‘제주4·3 및 인천5·3민주항쟁 역사·평화교육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올해 5월 인천 학생들이 제주를 방문해 제주4·3을 이해하는 활동을 진행했고, 이번 행사에서는 제주의 학생이 인천을 방문해 인천5·3민주항쟁과 역사를 이해하는 교류를 한다.
이번 활동에서는 강화 교동도에서 실향민에 의해 형성된 대룡시장 탐방과 망향대 망원경을 통해 북한의 모습을 살펴보고, 난정평화교육원에서 양 지역의 학생들이 만나 역사‧평화교육 프로그램 진행 미션을 협의한다.
그리고 한국전쟁 당시 강화도에서 자행된 민간인 학살과 관련된 내용을 증언으로 인천의 역사를 이해하고 인천5‧3민주항쟁과 관련된 시민회관 옛터, 답동성당 등을 답사해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된 배경을 이해하는 시간도 갖는다.
또한 인천 학생과 제주 학생이 함께 개항장 탐방을 통한 근대화 과정 이해와 근대문학관 방문으로 한국 근대 문학 속에서 인천 도시의 형성 과정을 시와 소설을 통해 확인하는 활동도 한다.
김광수 교육감은“이번 학생 교류를 통해 제주와 인천이 평화와 인권을 생각하는 마음의 거리가 더욱 가까워졌으며, 이를 교육적 측면에 적용하는 사례를 나누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며 “제주 학생들이 다른 지역 학생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