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삶과 문화재 보존 조화를’ 성읍민속마을 국회서 해법 찾다

위성곤·전재수·임오경 국회의원 공동주최 주민과 문화유산 상생 모색에 한 뜻 모아

2024-12-02     구혁탄

지난 11월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성읍민속마을 가치의 재조명과 주민 생활과 전통문화 보존 간 조화를 모색하는 토론회가 열렸다.

위성곤 국회의원(제주 서귀포시)과 전재수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임오경 간사위원이 공동주최하고 국가유산청이 후원한 이날 토론회에는 전문가들과 고윤식 성읍리장을 비롯한 마을 주민들이 참석했다.

주제발표자로 나선 김인성 성읍민속마을 총무이사는 현재 주민들은 문화재보호법과 관련된 과도한 규제로 불편함을 겪고 있다주거환경 개선과 생계 지원에 정부와 지자체가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발제에서 강명언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원연합회장은 성읍민속마을의 경제적 이익 창출을 위해 정주 여건 개선과 현상 변경 절차 간소화가 필요하다문화유산 가치의 보존과 주민생활과 관광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좌장을 맡은 강문규 서귀포시문화도시추진위원장은 성읍민속마을이 40년 동안 겪어온 어려움과 현재 상황을 돌아보고 정부, 지자체, 주민들이 각자 역할에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성읍민속마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토론을 이끌었다.

토론자로 나선 강희팔 성읍민속마을보존회 이사장은 현상 변경 심의 절차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주민들의 생활 개선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장여동 전라남도 순천시 국가유산활용팀장은 입장료 환원과 현상 변경 기준 완화 등 민속마을 정책의 모범사례로서 전남 순천시 낙안읍성의 경험을 공유했다.

토론자로 함께한 이종희 국가유산청 문화유산국장과 강석찬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장도 현황을 논의하고 지속가능한 성읍민속마을을 위한 규제 완화 및 지원 노력을 약속했다.

주최측인 위성곤 의원은 “600년 역사를 간직한 성읍민속마을은 제주도의 소중한 문화적 자산이라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제기된 의견들을 바탕으로 주민 생활환경 개선과 문화유산 보존 간 균형을 찾기 위한 정책들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서 시대의 흐름에 맞는 규제 완화와 지원 체계 마련으로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성읍민속마을을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에 위치한 성읍민속마을은 현존하는 몇 안 되는 읍성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인 1423(세종 5)에 현청이 설치된 이후 조선말까지 약 5세기 동안 정의현(旌義縣)의 소재지였으며, 지금까지 성곽, 동헌, 향교 등이 잘 보존되어 있어, 지난 1984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