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 유권자의 판단만 남았다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일주일도 남지 않았다. 내일(29일)과 모레(30일) 사전투표가 실시된다. 사전투표는 선거인이 별도의 신고를 하지 않고도 사전투표 기간에 전국 읍·면·동에 설치되는 사전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는 제도다. 사전투표 제도가 도입되기 전에는 부재자투표가 시행됐다. 부재자투표는 선거일에 선거인명부에 등재된 거주지에서 투표할 수 없을 때 신고하고, 선거일 이전에 투표하는 제도였다.
선거관리위원회는 2013년 이전까지 사전에 부재자 신고를 한 유권자에게 투표용지를 발송해 투표할 수 있도록 했다. 201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 처음 사전투표제가 실시되고,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는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현재 거소투표와 선상투표, 국외 부재자 투표를 제외하고는 일반 유권자의 부재자투표는 없어졌다. 사전투표가 이를 대신하고 있다. 이번 대선 서귀포 지역에서의 사전투표는 서귀포 지역 17개 읍·면·동 사전투표소에서 오는 29일과 30일 오전 6시~오후 6시까지 이뤄진다.
대선을 앞두고 각 정당과 후보들은 저마다의 전략과 메시지를 앞세우며 유권자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 등은 정권 심판과 정치 심판 등 ‘심판론’을 앞세우는가 하면 후보 개인의 정치·도덕·윤리 성향 등을 비판하면서 자신이 대한민국을 이끌 적임자라고 유권자에게 호소하고 있다. 이제 현명한 유권자의 판단만 남았다.
그동안 대한민국 정치인은 선거할 때만 낮은 자세를 취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통령 후보뿐만 아니라, 국회의원 후보, 도지사 후보, 도의원 후보 등 각종 선거에 출마하는 정치인 모두가 이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다.
유권자는 누가 대한민국 경제·안보·외교를 안정적으로 이끌고, 정치를 개혁하며, 서귀포가 안고 있는 관광산업·환경·주거 문제 등 지역 현안에 실질적 도움을 줄 후보는 누구인지 판단할 것이다. 그리고 내년 6월에 치러지는 지방선거와 2028년 4월 시행되는 국회의원선거를 통해 정치를 평가할 것이다.
제21대 대통령선거에 나선 후보자 모두 선거운동 기간 유권자에게 한 약속을 지키는 모습을 반드시 보여 줘야 한다. 그래야 현재 대한민국 사회에 팽팽한 정치 불신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정치 불신과 갈등의 근본 원인이 정치 그 자체가 아니라, 책임을 외면한 정치인에게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유권자는 참정권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찍을 후보가 없다는 이유로, 마음에 드는 정책이 없다는 이유로 투표장에 가지 않는다면, 우리 세대는 물론 우리 자녀들이 살아갈 미래의 희망도 사라질지 모른다. 최선이 아니라면 차선이라도, 차선이 아니라면 차악이라도 선택해야 한다. 투표를 포기하는 것은 최악을 선택하는 것과 다름 아니란 사실을 유권자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6월 3일 투표소에 가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29일과 30일 실시되는 사전투표를 통해서 참정권을 행사하는 성숙한 민주 시민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