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닥꼬닥, 올레!’… 2025 제주올레걷기축제 6~8일 개최

지역 내 1만여 명 참가해 원도심 길 따라 걷는다 마을 부녀회·도시락 업체 협업한 지역 먹거리 눈길

2025-11-06     구혁탄

전 세계 도보 여행자들이 손꼽아 기다려온 ‘2025 제주올레걷기축제’가 오는 11월 6일 고성리운동장에서 화려한 막을 올린다.

올해로 15회를 맞은 제주올레걷기축제는 6일부터 8일까지 3일 동안 △17코스 정방향(고성리운동장~이호항 11.9km) △17·18코스 정방향(이호항~화북포구 16.5km) △18코스 역방향(조천만세동산~화북포구 11.3km) 순으로 진행된다.

3일간 제주의 자연과 지역문화를 함께 체험하는 도보여행 축제로, 총 1만여 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제주의 오랜 정치·문화 중심지였던 원도심을 따라 걷는 코스를 중심으로, 제주의 성안문화와 역사를 만날 수 있다.

개막식에는 서명숙 제주올레 이사장,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김광수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유파 중화인민공화국주제주총영사관 부총영사, 미야타 기미히로 주제주일본국총영사관 수석영사, 김일환 제주대학교 총장, 황석연 제주관광공사 본부장, 류승룡 배우 등 주요 내빈이 참석한다.

또한 규슈올레, 미야기올레, 몽골올레 등 자매의 길 관계자들과 천리길협화, 여주 여강길, 강릉 바우길 등 국내외 트레킹 단체 참가자들이 함께 축제의 시작을 연다.

특히 규슈올레 8·9코스 개장 10주년을 기념하는 세리머니도 열려 글로벌 트레일 축제로서의 위상을 높인다.

(사)제주올레는 제주올레 길이 지나는 마을의 경제를 활성화하고 참가자들이 제주의 전통 식재료를 접할 수 있도록, 길 인근 마을 부녀회 및 도시락 업체들과 협업해 다양한 먹거리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축제 첫날 고성리 부녀회는 두부와 귤을 재료로 한 아침 간편식을, 외도동 부녀회는 점심으로 접짝뼈국과 지슬버섯들깨탕을 제공한다. 2·3일차에는 지역 도시락 업체가 준비한 점심 도시락과, 화북동 부녀회의 멸치국수·파전·닭모듬 등 간편식이 마련된다. 마지막 날 아침에는 조천리 부녀회가 지름떡을 무료로 제공한다.

올해는 도심권을 통과하는 코스를 반영해 마을 부녀회뿐 아니라 다양한 도시락 업체들과 협업이 이뤄진다.

먹거리뿐만 아니라 평소 올레길에서 만나기 어려운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개막식에서는 광령초등학교 뮤지컬 동아리, 국악·재즈·클래식 뮤지션으로 구성된 ‘여락’, 단디밴드가 무대를 연다.

축제 3일 동안은 마두금 연주자 타미르, 싱어송라이터 해밀, 해병대9여단군악대, 모드라기 여성합창단, 에버그린2혼디밴드, 싱어송라이터 소리, 별꼴학교 별꼴밴드, 모아맘밴드, 어린이뮤지컬 카이노스 등 지역 예술가들이 무대를 이어간다.

올레길 곳곳에서는 ‘김홍석 듀오’, ‘라니알로하’, ‘프롬디스트링’, ‘64West’, 시각장애인 성악가 전영진, 드러머 시니가, 금관앙상블 ‘브리즈브라스’, 1인 밴드 ‘제주백작’ 등 다양한 이동형 공연이 참가자들의 발걸음을 가볍게 할 예정이다. 

‘올해의 초대’ 프로그램에는 발달장애인으로 구성된 ‘하음오케스트라’가 참여해 개막공연을 선보이고, 일부 구간을 함께 걸으며 모두가 함께하는 축제의 의미를 더한다.

축제 기간 동안 제주올레 완주자클럽의 심쿵카페, 제주올레 아카데미 총동문회의 전통놀이 체험, 한국연연맹 제주지부의 연날리기, 몽골올레 부스의 현지문화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또한 QR 스탬프 투어와 코스튬 콘테스트 ‘꼬닥꼬닥 멋내기’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축제 협찬기업의 다양한 후원 물품과 올레스테이 숙박권 등 경품을 받을 수 있다.

마지막 날 화북포구에서는 해신사 투어와 제주목사 행렬 퍼레이드가 열리며, 예동어린이합창단, 혜이니, 사우스카니발이 폐막식 무대를 장식한다.

안은주 (사)제주올레 대표는 “제주올레걷기축제는 단순히 길을 걷는 행사가 아니라, 마을과 주민, 참가자, 자원봉사자 모두가 함께 만드는 축제”라며 “3일 동안 많은 사람들과 꼬닥꼬닥 걸으며 따뜻한 정과 힐링의 순간을 나누길 바란다”고 말했다.

공식기념품을 받을 수 있는 사전 참가신청은 마감됐지만, 현장 참가신청이 가능하며 별도 신청 없이도 누구나 무료로 축제를 즐길 수 있다. 자세한 정보는 제주올레 공식 홈페이지와 애플리케이션 ‘올레패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