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시민 뜻으로 시민 현안 해결하자

2009-09-03     서귀포신문

말도 많던 제주도지사 주민소환운동이 투표율 미달로 무산된 이후 서귀포 시민들에도 후유증이 당분간 지속되고 있다. 도지사와 시장 등은 사상 첫 주민소환을 교훈삼아 도민화합과 갈등해소를 부르짖건만 시민들의 피부에는 와 닿지 않고 있다. 

사상 첫 주민소환운동에 혼쭐 난 도정과 시정 책임자들은 불량감귤 열매솎기와 신종 플루 대책마련 등으로 국면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투표불참 종용과 관권개입 논란 등으로 정치적 객체로 밀려난 시민들의 허탈감은 쉬 메워지지 않고 있다. 

서귀포시가 뒤늦게나마 이달을 주민과의 대화행정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각종 민원현장을 찾아가 시민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현장 예찰활동을 통해 민원발생을 사전에 예방한다는 취지라는 설명이다. 대화행정 강화방침은 수차례 귀 아프게 들어온 터라 별다른 느낌은 없지만, 이번 기회에 행정이 시민들에 밀착행정을 펴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사실 서귀포시에는 최근 각종 집단민원들이 산적하면서 겉으로는 평온할 뿐, 내부적으로는 심한 몸살을 겪고 있다. 주민소환운동과 해군기지 문제에 가려 표면에 드러날 기회가 적지만, 동시다발적인 집단민원들로 시정의 표류현상이 장기화되고 있다.

대표적인 집단민원만 해도 중정로 도시계획도로를 비롯해 삼매봉 도시공원 조성, 수협 수산물가공시설, 동홍동 충전소 설치, 혁신도시 조성 민원불편 등 일일이 열거할 수 없다.이들 집단민원은 하나같이 시민들의 이해관계와 밀접하게 얽혀 있어 해결 방도를 찾기가 힘든 편이다.

일부 사안에 대해서는 행정이 시민들과의 줄기찬 대화노력으로 해결 조짐이 보이지만, 대부분은 손을 대지 못할 정도로 앞길이 첩첩산중이다.

서귀포시의 집단민원 해결대책 중 눈길을 끄는 것은 중정로 도시계획 문제에 대해 시민 토론회를 통해 시민들 의견을 공론화한다는 것이다. 20여년 끌어 온 중정로 도시계획 문제를 시민들 의견을 존중해 투명하고 열린 방식에 의해 해결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행정시로 전락한 서귀포시가 모처럼 관 주도가 아닌 시민 주도에 의해 시민사회의 현안을 해결하도록 일임한 것은 다소 이례적인 일이다. 비록 자치권 없는 시민들이지만, 이번 중정로 시민 토론회가 시정의 각종 현안들이 투명하고 열린 방식에 의해 해결되는 발판으로 이어지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