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중정로 문제, 이번엔 매듭짓자

2010-03-19     서귀포신문

 서귀포시의 대표적 장기 미집행도로인 중정로 도시계획 문제가 전문기관 용역에 넘겨져 문제 해결에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서귀포시가 1억7000여만원의 막대한 예산을 들여 국내 유수의 전문기관에 용역을 의뢰했다 하니, 용역결과에 벌써부터 관심이 쏠린다.

 중정로는 1986년에 도시계획도로 확장계획을 수립했으나, 사업비 부족을 이유로 지금까지 도로확장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도로확장 여부로 시민과 상인들간 24년째 메아리 없는 논쟁이 이어지는 와중에 시대변화에 뒤처져 상권침체만 가속화되고 있다.
 
 중정로 문제 장기화에는 행정당국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뚜렷한 재원확보방안 없이 서둘러 도로확장 계획을 수립한 결과 행정불신을 자초하게 됐다. 역대 시장들은 시비에 휘말리기를 꺼려 소극적 자세로 일관했고, 시민들에 대한 중간 홍보노력도 미흡했다.      

 중정로 해법 모색을 위해 지난해 시민 토론회와 좌담회 등이 마련되면서 도시계획도로 존폐여부를 조속히 결정짓기로 상인들간 의견 일치를 보인 것은 나름대로 소득이었다. 더 이상 알맹이 없는 논쟁만 되풀이되면 상권 전체가 침몰한다는 위기의식이 형성된 까닭에서다.
 
 중정로 일대가 시계를 멈춘 사이, 주변 상가에서는 변화의 움직임이 꿈틀대고 있다. 보행자 우선도로 사업이 완결된 이중섭 문화의 거리에는 내달부터 주말에 '차 없는 거리'가 첫 선을 보인다. 인근 명동로와 청사로에도 보행환경 개선도로가 속속 확대될 예정이다.
 
 막대한 예산을 들인 이번 중정로 도시계획 용역이 그간의 관행처럼 행정기관의 '책임회피식' 용역으로 둔갑한다면 시민들의 실망감은 심각할 것이다. 최대 관심사인 도시계획도로 존폐에 대해서도 뚜렷한 결론이 제시되지 않는다면 시민들간 논쟁은 더욱 확산될 것이다.

 중정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난해 시민 토론회에서 보여준, 상대방 의견을 겸허히 경청한 뒤 논리적으로 대응하려는 성숙한 시민의식도 선결과제가 되고 있다. 이번 용역 발주가 중정로 재도약의 마지막 기회라는 자세로 민관이 진지하게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