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도지사 선거과정에서의 씁쓸함
이번 지방선거 들어 제주도지사 선거전이 시종일관 격랑에 휩싸이고 있다. 현역 지사의 불출마 선언에서 비롯된 돌출변수가 민주당 우근민 예비후보의 탈당에 이어 한나라당 현명관 예비후보의 공천권 박탈로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도 더 많은 변수가 도사리고 있다. 제주지역 선거사상 최초로 집권 여당에서 도지사 후보를 내지 않을 가능성도 엿보이고 있다. 무소속 후보가 몇 명 나올지도 관심사다. 도지사 후보 공천을 눈앞에 둔 시점에서 후보의 윤곽이 드러나지 않은 점도 사상 초유의 일이다.
일련의 선거과정에서 드러났듯 중앙 정당이 제주도를 바라보는 시각은 역시 '변방의 섬' 이었다. 민주당은 우근민 후보의 성희롱 전력 파문이 꿈틀대자 갓 영입한 우 후보를 한순간에 내팽개쳤다. 한나라당도 현명관 후보측의 금품살포 의혹의 여파를 차단하고자 '제주지역 무공천'이란 전에 없는 초강수를 띄웠다. 양당의 자존심이 걸린 서울· 경기지역 단체장 승리를 위해선 제주지역 한 곳을 포기하는 것쯤은 별 일 아니라는 식이다.
과정이야 어쨌건, 제주지역 도지사 예비후보가 각종 잡음으로 인해 중도에 공천이 박탈된 것은 충격적인 일이다. 전국의 언론들은 제주지역에서 전개되는 도지사 후보의 잇달은 낙마 사실을 대문짝으로 다루면서 도민들을 부끄럽게 만들고 있다. 그동안 선거 때마다 후보들의 불·탈법 사례가 끊이지 않았던 전례에 비춰, 이번 선거를 계기로 선거문화에 새로운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최근 서귀포지역 일부 도의원 선거구에서도 접전 양상을 펼치는 후보들의 지지계층 간 과열 혼탁 조짐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일부 읍면 지역에서는 유권자들의 지연· 혈연 등을 토대로 마을별로 특정 후보에 대한 지지여부가 벌써부터 파악될 정도다. 그런 과정에서도 일부 후보들은 선거법 규정을 지키기 위해 모범적인 선거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끊임없이 요동치는 도지사 선거 여파로 교육감 선거가 도지사 선거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은 다소 안타까운 일이다. 그럼에도 '돈 안 드는 선거, 깨끗한 선거'가 정착되기 위해선 금품선거나 탈·불법 선거 등 구태의연한 선거문화는 반드시 개선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