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공무원들도 서귀포시 떠난다

2010-08-05     서귀포신문

서귀포시의 최대 현안으로 인구 감소 문제가 줄곧 거론되고 있다. 인구 감소 원인이야 교육· 의료문제 등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지만, 지금까지 마땅한 해법은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 특별자치도 출범으로 서귀포시는 읍면동을 포함해 약 15만 여명의  인구를 거느리고 있다. 하지만 실제 생활권 범주에서 보면 시 인구는 절반 수준에 그친다. 비록 몸은 서귀포에 붙어 있어도 병원이나 학교 등은 제주시내 시설을 이용하는 사례도 꽤 많은 편이다.  

우근민 도정 출범 이후 서귀포시가 지난 4일 정기인사를 처음 단행했다. 특히 이번 인사에서 서귀포시 공무원의 상당수가 제주시 지역 전출을 희망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산남· 북간 균형발전과 인구감소 등 주요 현안에 대해 시책과 해법을 찾아내야 할 공무원들마저 서귀포시를 훌훌 떠나려 한다니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이러다간 서귀포시는 말 그대로 공무원들이 '스쳐 지나가는' 행정기관으로 전락할 판이다.

이번 공무원 인사에서도 드러났듯이, 공무원들의 서귀포시 근무 기피현상은 예상 외로 심각하다. 우선 시장과 부시장 등 고위 간부들 대다수가 서귀포 출신이란 이름아래 고향을 떠난 뒤 일시적으로 '컴백'한 사례들이다. '제주시 선호· 서귀포 기피' 현상이 심화되면서 제주시에 전출하려는 내부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과거 민선시대에는 국비 보조금을 겨냥해 지자체간 인구유입 경쟁이 치열한 탓에 공무원들이 서귀포시에 발을 담가야 했으나, 이제는 그럴 필요도 없어진듯 하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공무원들이 서귀포시 근무를 꺼리는 주요인의 하나로 승진 지체를 꼽고 있다는 점이다. 사실 시 공무원들 중 일부 나이 많은 공무원들은 승진 의욕이 상대적으로 낮은 탓에 서귀포 지역에만 머무르려 한다. 이러다 보니 지역출신의 후배 공무원들은 승진 기회가 없어지고, 대신 제주시 출신으로 갓 승진한 공무원들이 '낙하산' 형식으로 간부 자리를 꿰차는 사례가 되풀이되고 있다.

서귀포시가 행정과 경제 등 모든 면에서 갈수록 침체경향이 심화되는 터에, 고급 인재에 해당되는 공무원들마저 고향을 떠나려는 것은 분명 불행한 일이다. 이번 기회에 지역 균형발전을 표방한 우근민 도정이 냉철한 원인분석을 통해 공무원 인사 면에서 합리적인 해법을 도출해 내기를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