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정로’ 소모적 논쟁 끝내야

2010-10-21     서귀포신문

서귀포시의 대표적 장기민원으로 손꼽히는 중정로 도시계획도로 문제가 또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서귀포시가 1억7000여만원의 막대한 예산을 들여 추진 중인 중정로 보행환경 조성사업 관련용역이 마침내 윤곽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서귀포시는 내년 1월까지 시행되는 이번 용역결과를 토대로 무려 24년간 끌어 온 중정로 도시계획 문제를 매듭지으려는 방침이어서 향후 추진과정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만시지탄이나, 중정로 문제에 대해 이번 기회에 종지부를 찍으려는 시당국의 의지에 대해서는 공감을 표명한다. 1980년대만 해도 중정로 일대에는 고객들의 발길이 쇄도하면서 주변 상가들이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했으나, 급변하는 시대흐름에 따라가지 못한 채 상권은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신시가지나 동홍동 일대로 중심상권이 속속 이동하는 사이에도, 중정로는 20년 넘게 도로확장 여부에 따른 논란만 되풀이하다 상권 침체를 자초했다는 분석이다.     

지난 20일 서귀포시가 주관한 용역기관과 상인 대표들간 간담회에서 첫선을 보인 중정로 관련용역의 뼈대는 현재의 중정로 가로골격을 유지하는 대신, 1차선 일방통행으로 보행환경을 개선한다는 것이다. 시 재정여건상 도로 확장에 필요한 600억원의 재원확보가 난망한 여건에서, 관광객 유치 등 차원에서 특색 있는 ‘걷고 싶은 거리’를 만들자는 취지다.  중정로 문제 해결을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는 인식에는 시민이나 상인들 대부분이 찬성하는 듯하나, 이번 용역결과로 새로운 변수가 도출된 셈이어서 해법마련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시민들은 지난해 시 차원에서 거론한 ‘차 없는 거리, 물의 거리, 문화테마 거리’가 슬그머니 사라지고 ‘일차선 양방통행’이 부각된 데 혼란스러워 할 것이다. 도시 확장에 따른 사업비도 불과 1년 사이에 1200억원에서 800억, 600억으로 수차례 변동하고 있어 행정신뢰에 의문이 가고 있다. 도로정비에 따른 주차장 확보계획도 구체적으로 수립돼 있지 않다. 도시계획선에 맞춰 건물을 지은 10개소 건물주에 대한 형평성 논란도 여전하다.

결국 중정로 문제를 해결하려면 시민들이 머리를 맞대 스스로 해법을 도출하려는 자세가 요구된다. 서귀포시가 최근 주․정차 개선을 위한 시민 토론회를 열고 노상주차 유료화 방안이란 해법을 발굴해 낸 것이 좋은 사례다. 중정로 문제가 더 이상 소모적 논란에 빠지지 않도록 이번에야 말로 ‘투명하고 열린’ 해법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