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스포츠 행사 지원금 논란’ 해법 없나
제주도의회가 내년도 제주도 예산안을 심의하면서 '언론사 스포츠 행사 지원금 논란'이 도민사회의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당초 도의회 예산결산위원회에서 심의를 마친 제주도 예산안에 대해 제주도가 이를 인정치 않고 '부동의' 함으로써 논란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논란의 핵심에는 민간보조금 항목 가운데 언론사 스포츠 행사 지원금 문제가 터 잡고 있음은 물론이다. 제주도와 도의회가 마치 이번 사안을 놓고 자존심 대결을 벌이는 양 비쳐질 정도다.
도와 도의회가 내년도 예산안에 대해 어떤 결말을 내든, 언론사 스포츠 행사 지원금 논란이 불거진 시점에서 이 문제의 본질에 대해 차분히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먼저 도내 언론사들이 도민 혈세인 민간보조금을 지원받고 스포츠 대회를 개최하는 것은 10여년부터 이어져 온 관행의 하나다. 문제는 행정이 지원하는 스포츠대회 지원금 규모가 일정한 기준과 원칙 없이 매년 눈 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내년도 예산안 심의과정에서도 제주도가 지난해의 절반 수준으로 내놓은 스포츠 행사 지원금을 도의회가 예년 수준으로 증액함으로써 논란의 빌미로 작용하고 있다.
또 다른 문제는 최근 도내 언론사들간 과당경쟁이 심화되면서 스포츠 행사를 활용한 부대사업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는 점. 비교적 전통을 갖춘 언론사들은 스포츠 행사 개최를 계기로 광고 영업 등 마케팅 활동을 펼치며 경영개선의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반면 최근에 많이 설립된 신생 언론사들은 제주도가 최근 몇 년간 재정악화를 이유로 ‘신규 사업에 예산지원 불가’를 강조하느라 스포츠 행사 개최 등을 시도할 기회조차 얻지 못하고 있다. 이번 예산안 심의과정에서 예산 지원을 받아 온 언론사와 신생 언론사들간 극명한 논조 차이를 드러내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언론사 스포츠행사 지원금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오른 시점에서 무엇보다 종전과 같은 주먹구구식 지원이 아닌, 원칙과 기준을 지닌 지원규정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차제에 민·관 전문가들로 구성된 별도의 위원회가 구성돼 언론사가 주관한 스포츠행사에 대한 종합평가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지난 도정 때 출범한 축제위원회 활동사례를 교훈삼아, 스포츠행사에 대한 평가결과를 토대로 예산을 차등 지원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 유사 스포츠행사에 대해서는 통·폐합도 불사해야 할 것이다. 최근 사례와 같이 제주도가 스포츠 행사 관련예산을 일괄적으로 반토막 삭감 편성하거나, 언론사들이 도의원 로비를 통해 삭감된 예산을 다시 증액시키는 숨바꼭질은 더 이상 사라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