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역경제 위기, 대책 없나

2011-04-29     서귀포신문

 침체의 늪에 빠진 서귀포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이 근래들어 심도 있게 논의되고 있다. 물론 지역경제가 활력을 잃은 채 좀체 회생의 기미를 찾지 못하는 현상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하지만 최근 서귀포시의 유일한 대학인 탐라대학이 제주산업정보대와 통합으로 인해 사라질 위기에 처하면서 시민들의 위기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지난주 열린 제주도의회 도정질문에서 서귀포시 출신 도의원들은 앞 다퉈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특단의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도의원들이 요구는 크게 탐라대학의 존속 또는 외국대학 유치, 여객선 취항이 끊인 서귀포항에 뱃길 재개, 서귀포의료원 운영 활성화에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답변에 나선 제주도지사는 지역경제 위기에는 공감하면서도 뾰족한 해법은 제시하지 않아 시민들을 더욱 애태우게 하고 있다. 

 무엇보다 탐라대 부지 매각방침은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교육명문도시를 지향하는 서귀포시에서 유일한 4년제 대학마저 문을 닫게 된다면 도서로서의 체면이 말이 아니다. 시민들의 자존심도 한참 구겨지게 된다. 대학생이나 젊은이들이 없는 서귀포시 거리를 상상한다면 끔찍한 일이다. 모처럼 행정과 시민이 뜻을 모아 발 벗고 나서는 교육기금 조성 노력에도 자칫 찬물이 끼쳐질지 우려된다. 

 서귀포항 뱃길 재개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과제다. 무역항으로서 나름대로 항만 인프라가 갖춰진 서귀포항에 지난 10여년간 여객선 취항이 끊긴 사실이 곧바로 지역경제의 장기침체를 방증하고 있다. 서귀포시 전체 인구의 3분의 1수준인 전남 장흥군에서 지난해 7월 성산~장흥 노선에 여객선을 투입해 호황을 누리는 것은 시사하는 바 크다. 제주도와 서귀포시는 서귀포항에 삼다수 물량 배정 등 임시방편에만 급급할 게 아니라, 서귀포항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해 뱃길 재개를 위해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별자치도 출범 이후에도 지역경제 추락현상은 가속화하고 있지만, 해법마련을 위한 소통공간은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최근 서귀포시에 모처럼 인구 증가세가 나타나고 있는 현상은 오랜 가뭄에 단비 격이다. 서귀포시와 서귀포시관광협의회가 구 도심권 활성화 차원에서 휴․ 폐업한 숙박시설의 리모델링을 통해 관광객 유치에 공동보조를 취하는 것도 고무적인 일이다. 지역경제 살리기 차원에서 4년제 대학 존속과 서귀포의료원 활성화, 관광객 유치 등 다방면에서 민관이 함께 머리를 맞대는 기회가 자주 마련되길 바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