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주혁신도시에 불똥 없어야

2011-05-20     서귀포신문

각종 대형 국가사업의 입지가 속속 발표되면서 전국적으로 민심이 요동치고 있다. 지난해 세종시 논란에 이어 올 들어 영남 신공항 건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본사 이전, 과학벨트 입지선정에 따른 후유증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대통령 공약으로 내건 이번 국책사업의 입지선정 결과를 놓고 정치권 일각에서는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정치적 입김이 좌우한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런 와중에 지금까지 비교적 순항추세를 보여 온 제주 혁신도시 건설에도 자칫 불똥이 튈 전망이다. 당초 제주 혁신도시 이전 대상인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승인 결정이 계속 늦춰지는 바람에 다소 불길한 예감이 솟구친다. 자칫 한국정보화진흥원 유치에 실패한다면 제주 혁신도시에는 8개 공공기관만이 입주하게 돼 전국에서 가장 초라한 혁신도시 면모를 지니게 된다.

한국정보화진흥원 유치에 나선 경합 대상이 대구시란 점에서도 적잖이 신경에 거슬린다. 대구시의 경우 이미 영남 신공항 백지화에 이어 과학벨트 유치 무산 등으로 시민들의 실망이 극도에 달한 상태다. 비록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대구 시민들에게는 덩치가 작은 기관일지 모르나, 이마저 제주에 이전한다면 시민들에게 불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자칫 정치권의 들끓는 영남 민심 달래기 차원에서 제주 혁신도시 유치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이유다.

사정이 이런 데도 서귀포시민들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유치 문제에 별다른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듯하다. 대형 국책사업에 따른 민심 동요 현상이 마치 강 건너 불 인양 팔짱을 낀 모습이다. 지역 균형발전과 지역경제 침체극복을 위해 서귀포시에 혁신도시를 유치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낸 열정이 다소 시들해진 느낌이다.

제주 혁신도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정보화진흥원 유치 문제에 막판 스퍼트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현재 제주 혁신도시 이전 예정인 8개 공공기관은 교육연수이 대부분이다. 때문에 미래 산업의 핵심인 정보산업 분야 한국정보화진흥원을 유치한다면 서귀포시 산업기반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역할도 기대된다.

교육과 의료문제 등으로 인한 인구유출이 여전하고, 감귤과 관광 외에 뚜렷한 산업 기반이 없는 지역 여건에서 혁신도시야말로 시민들이 기댈 마지막 언덕이다. 서귀포시에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차질 없이 최종 이전될 수 있도록 시민 전체의 역량결집이 거듭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