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시민들의 저력, 되찾아야

2011-06-30     서귀포신문

 민선 5기 도정 출범 1주년을 맞는 시점인 요즘, 서귀포시에 격랑의 파고가 밀어닥치고 있다. 탐라대 통합, 중문단지 매각 방침 등 지역사회의 근간을 송두리째 뒤흔드는 악재가 잇달아 터지면서 사회 전반에 깊은 주름을 드리우고 있다.

 무엇보다 서귀포시 유일의 4년제 대학인 탐라대 통합 문제는 ‘발등의 불’처럼 심각한 사안이다. 시민들의 뜨거운 열망을 업고 서귀포에 처음 들어선 4년제 대학이 16년 만에 문 닫을 위기에 직면해 있다. 1970년대에 제주대 이·농학부가 사라진 이후 서귀포시에는 또 다시 대학과 젊은이가 없는 유령도시로 전락하게 될 전망이다.

 교육발전 기금 조성을 통해 인구의 유출을 막고 교육명문도시로 도약하려는 서귀포시의 시정 운영에도 타격이 우려되고 있다. 탐라대가 그간 지역사회에 끼친 영향 등을 놓고 일각에서 논란도 제기하고 있으나, 어떤 형태로든 서귀포시에 대학 하나는 남겨둬야 도시로서 기능과 면모를 갖출 수 있다.

 중문관광단지의 매각방침도 지역경제 전반에 엄청난 파장이 예상되고 있다. 30년 전 지역주민 토지의 강제수용이란 곡절을 겪으며 첫 삽을 뜬 중문관광단지가 공기 업 활성화 명목으로 민간에 매각이 추진되고 있는 것. 공기업이 그동안 거둬들인 수익을 지역에 재투자 하지 않고, 기업논리를 내세워 민간에 운영을 넘긴다면, 중문관광단지의 공익성은 무시되고 무분별한 개발이 우려된다.

 주목할 것은 최근 매각대상 논란이 되고 있는 탐라대와 중문관광단지의 건립과정에 주민들의 헌신과 희생이 뒤따랐다는 점이다. 탐라대의 경우 대학유치를 위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공동목장 부지를 헐값에 매각했다. 중문관광단지 조성 당시에는 지역주민들이 본의 아니게 토지를 빼앗기며 공동체가 와해되는 비극을 겪었다. 1960년대 서귀포시에 제주대 이농학과가 개설될 당시에도 주민들의 헌신적인 토지 기부에도 아랑 곳 없이 대학은 10여년 만에 훌쩍 서귀포시를 떠나고 말았다.

 지역발전을 위한 시민들의 헌신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업논리가 여전히 판을 치면서 지역 균형발전은 갈수록 요원해지고 있다. 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자치권이 사라지면서 시민들의 정치적· 사회적 관심도 점차 엷어져가고 있다. 민선 5기 출범 1년을 맞는 시점에서, 시민들의 뜨거운 열정과 저력, 자존심을 되찾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시민들 스스로의 의식 개혁 노력과 함께 행정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