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탐라대 문제, 투명히 해결돼야
서귀포시 유일의 대학인 탐라대 통합과 부지매각 문제가 지역사회 최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시민들 사이에 대학 하나 만큼은 남겨둬야 한다는 절박감이 점차 공감대를 이루면서 교육문제를 떠나 시민 전체의 주요현안으로 확산되고 있다. 서귀포시와 민간단체, 지역주민들이 모처럼 머리를 맞대 범시민운동본부를 구성한 것이 기폭제 역할을 맡고 있음은 물론이다.
범시민운동본부의 활동이 분주해지면서 탐라대 통합방안과 관련해 그동안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사실들이 하나 둘 드러나고 있다. 탐라대 매각과 제주산업정보대에의 흡수통합 시도가 교육과학기술부가 아닌 학교법인에 의해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두 대학이 부실대학으로 낙인 찍혀 퇴출을 모면하고자 서둘러 정상화 방안을 마련해 교과부 승인을 얻고자 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교과부는 탐라대 매각 및 흡수통합 방안이 자체에서 만든 지침을 토대로 학교법인측이 제시한 것이지만, 교과부의 공식 입장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탐라대 매각 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이나 시민, 도민에게 논의되지 않은 점도 인정하고 있다. 학교법인 이사회에서 탐라대 매각방안 등이 거론됐으나, 교과부 지침에 의해 일단 제동이 걸린 사실도 뒤늦게 알려지고 있다.
탐라대 문제에 시민들의 관심이 높은 것은 서귀포시 유일의 4년제 대학이 문을 닫을지 모른다는 위기의식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탐라대 건립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이 산남 산북 교육균형 발전을 위해 생업 터전인 마을공동목장을 헐값에 팔았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교육에 대한 뜨거운 열망에 의해 시민들의 재산을 토대로 일궈낸 시민대학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여건에서 탐라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학교법인과 지역주민, 시민들이 서로 머리를 맞대 의견을 나누는 자리가 자주 만들어져야 한다. 탐라대 건립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의 헌신적 기여를 모를 바 없는 학교법인 측도 이제부터라도 지역주민들과 활발한 의사소통이 이뤄지기를 당부한다. 오는 18일 열리는 탐라대 문제와 관련된 시민대토론회에 학교법인측이 참가의사를 밝힌 것은 그나마 다행스럽다.
탐라대 문제는 지역주민과 학교법인 간의 문제를 벗어나, 이제 서귀포시는 물론 제주도와 도민 전체가 관심을 갖는 사안으로 발전하고 있다. 학교 정상화를 위한 두 대학 통합에는 찬성하지만, 통합 주제를 탐라대와 산업정보대로 하는 문제는 앞으로 더욱 투명한 공론화 작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