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학 없다면 '죽은 도시' 된다!

2012-02-02     서귀포신문

탐라대 부지 매각문제로 서귀포시 사회가 또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 동원학원 측에서 금명간 이사회를 열고, 탐라대 부지 매각 안건을 심의할 예정인 때문이다. 만일 탐라대 매각이 원안대로 처리된다면, 서귀포시의 유일한 4년제 종합대학인 탐라대는 그 간판과 부지가 완전히 이 땅에서 사라지게 된다.

시민들은 지난 해 탐라대 매각 저지를 위해 75개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범시민 운동을 전개하며 6만7272명의 반대 서명을 이끌어냈다. 중문관광단지 매각반대 운동과 더불어 서귀포시 사회에서 이렇듯 대규모 시민운동이 펼쳐진 것은 근래들어 유래가 드문 일이다. 시민사회단체와 행정이 모처럼 한 목소리를 내면서 시민사회 역량결집이란 저력을 널리 과시하기에 충분했다.

그럼에도 동원학원측은 시민들의 뜨거운 열망에도 아랑곳없이 탐라대 통합에 이어 대학 부지마저 내다팔려 하고 있다. 서귀포시나 하원마을 측에 한마디 사전 통보도 없이 학교 정상화만을 내세워 훌훌 떠날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탐라대 부지가 어떤 땅인가. 하원마을 주민들이 소와 말 대신 사람을 키우려 생계수단인 공동목장 부지를 헐값에 건넨 토대가 마련됐기에 대학설립이 가능했던 것이다.

하원마을 주민들이 당시 대학건립 과정에 물심양면 지원한 것은 산남산북 균형발전을 위해선 대학설립을 통한 교육격차 해소가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지난해 시민들이 대규모 매각 저지운동에 동참한 것도 비슷한 연유에서다. 1980년대 제주대 이농학부의 제주시로 옮긴 이후부터 지역사회가 내리막길을 걸어 온 과정을 목격해 왔기 때문이다.

최근 서귀포시는 인구유출 방지를 위해 명품 교육도시 육성을 내걸고 교육기금 운동 모금에 나서고 있다. 시민들의 적극적 동참과 더불어 일선 학교에 대한 지원이 이뤄지면서, 지역 고교생들의 학력이 일취월장하는 성과도 벌써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서귀포시에 단 한군데도 대학이 없다면, 교육기금 모금 성과에도 불구하고 인구유출 방지에는 속수무책일 따름이다.

4.11 총선을 앞두고 총선출마 예비후보들은 저마다 산남북 균형발전 방안으로 교육과 의료 인프라 구축을 내세우고 있다. 이번 기회에 탐라대 매각 문제를 총선의 주요 이슈로 내세워, 정치권에서 해결방안을 도출해 내야 할 것이다. 탐라대 부지에 단과대나 외국대학 분교 등 대학시설이 없다면, 서귀포시는 젊은이들에 영영 희망 이 없는 죽은 도시로 남게 됨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