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도심 주차문제, 이대로 둘 것인가

2012-05-11     서귀포신문

서귀포시가 도심 주차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 가뜩이나 부족한 주차공간이 하나둘 사라지면서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시민과 관광객들의 차량은 도로에 넘쳐나고 있으나, 주차공간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어 주차난 심화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시민들이 주차장 용도로 사용하던 공한지에 건물신축이 활발히 이뤄지면서 주차난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

사정이 이런 데도 서귀포시가 주차문제 해결에 뾰족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공영주차장 확보를 위해서는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나, 시민의 혈세를 무한정 주차장 건설에다 쏟아 부을 수 없어 속수무책에 가까운 실정이다. 시내 도심지에 차량 1대를 세우기 위한 주차공간으로 차량 1대의 가격을 웃도는 3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할 수는 없다는 논지를 펼치고 있다. 주차공간 확보방안 없이 불법 주정차 단속을 강화한다는 방침이어서 시민들의 반발이 우려되고 있다.    

시민들의 교통의식도 주차난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걸어서 5분 거리의 가까운 거리에도 굳이 차량 이용을 마다하지 않는다. 도심지에 위치한 매일올레시장 주차장의 경우 1시간 이내 주차 시 무료임에도 평소 주차장 이용률은 70% 수준에 머물고 있다. 도심지역 여타 유료 주차장의 경우에도 평소 한적한 편이어서 시민들의 유료주차에 대한 의식은 매우 희박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귀포시가 중정로와 명동로 등 도심 일대를 명품 상권으로 육성하려는 시점에서 도심지 주차문제를 계속 방치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시민들의 교통의식 부재를 탓하며 주정차 단속에만 열을 올려서도 안 된다. 무엇보다 시민들의 주차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는 공한지에 더 이상 건물신축이 이뤄지지 않도록 사전에 예산확보 등 절충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당초 공영주차장 용도이던 옛 시외버스 터미널 일부 공간도 시외버스 회차지로 계속 편법 임대할 게 아니라 조속히 원래 용도로 되돌려놓아야 한다. 현재 공사가 중단상태인 제주재활전문센터 등 교통 혼잡을 유발하는 공공시설을 더 이상 도심에 건립해서도 안 된다. 도심 주차난을 부추기는 일부 시설에 대해서도 교통영향부담금 부과를 엄격 적용해야 할 것이다.

주차문제의 근본해결을 위해서는 차고지 증명제의 조속 시행방안이나 주차 빌딩  건립방안도 적극 검토돼야 할 것이다. 27년간 끌어 온 중정로 도시계획도로이 도로 확장 대신 기존 도로 정비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면, 그간의 상인들의 피해에 대한 보상차원에서 제주도정에 주차예산의 추가확보를 요구해야 할 것이다.

시민과 관광객들이 매일처럼 겪고 있는 주차문제를 서귀포시는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