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하논 복원, 중앙지원 이끌어야

2012-09-14     서귀포신문

‘환경올림픽’으로 불리는 제주 세계자연보전총회(WCC)에서 하논 분화구 복원이 마침내 결의(권고)안으로 채택되는 성과를 거뒀다. 제주도와 서귀포시, 범국민 민관기구 등이 이번 WCC를 앞두고 오래 전부터 의제채택을 위해 공들여 온 노력이 결실을 얻게 됐다.

IUCN(세계자연보전연맹) 산하 최대 국제 환경기구에서 하논 분화구 복원을 주요 의제로 채택한 것은 각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수만 년 기후변화 흔적이 간직된 하논 분화구가 동아시아 기후변화, 자연재해, 식생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보물이 될 수 있다는데 전 세계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WCC 의원총회에서 의제 채택을 위한 투표에 참가한 687명 가운데 무려 607명이 찬성표를 던진 것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번 의제 채택을 계기로 태고의 기후변화 수수께끼를 간직한 하논 분화구는 복원을 위한 새로운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은 대한민국 정부들이 자연환경(하논)의 복원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것을 권장한다’는 문구가 의제 내용에 포함된 때문이다. 중앙정부를 주축으로 하논 복원에 책임을 갖고 복원 비용을 부담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는 셈이다.

그동안 생태환경 가치에도 불구하고 하논 분화구 복원에 선뜻 착수하지 못한 것은 하논 일대에 광활한 면적의 사유지가 편입된데 따른 것이다. 서귀포시가 한 때 하논 복원을 위한 사유지 매입을 시도했으나, 막대한 매입비용을 감당치 못해 주저앉은 바 있다. 이런 와중에 논농사를 위한 농약 살포 등으로 하논 일대의 수질환경 등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어 시민들을 안타깝게 만들었다.

이제 WCC 의원총회의 의제채택을 계기로 하논은 더 이상 서귀포시의 보물이 아닌 우리나라, 더 나아가 전 세계의 보물로 위상을 높이게 됐다. 제주도와 서귀포시가 의제채택에 만족할 게 아니라, 중앙정부와 국회를 움직여 복원관련 예산을 충분히 확보하는데 만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원형에 최대한 가까운 복원작업, 사유지 매입방안, 국제 상호협력 및 교류방안 등 하논 복원을 위한 밑그림도 완벽하게 만들어져야 한다. 하논 복원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각계의 노고에 박수를 보내며, 하논이 세계의 보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더 한층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