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손발 안 맞는 휴양특구 지정
서귀포시가 역점사업으로 추진 중인 휴양특구 지정이 제대로 성과를 거둘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휴양산업 클러스터 특구지정이 공식명칭인 휴양특구 지정은 민선 5기 후반기 서귀포시정을 이끌고 있는 김재봉 시장이 지난해 12월 취임사에서 밝힌 핵심공약의 하나다. 시민의 소득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백년대계 차원에서 서귀포시에 휴양특구를 지정함으로써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육성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됐다.
휴양특구 등 특구지정은 지식경제부가 규제완화를 통해 특색 있는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정부 사업이다. 당초 서귀포시는 전지훈련과 관광휴양중심의 휴양특구로 갈지, 이중섭거리와 작가의 산책길 중심의 문화예술 특구로 갈지를 놓고 논란이 빚어졌다. 그 동안 수차에 걸친 전문가 진단과 내부 조율을 거쳐 중앙 공모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서귀포시 구도심 일원을 대상으로 한 휴양특구 지정으로 가닥을 잡아나갔다.
이를 토대로 막대한 예산을 확보한 뒤 전문용역기관을 선정하여 두 차례에 걸친 사업보고회를 개최했다. 사업보고회에는 정보공유와 부서간 협조 차원에서 서귀포시 산하 전체 간부들이 참여할 정도로 뜨거운 의욕을 드러냈다.
하지만 두 차례 보고회를 통해 휴양특구 지정이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고 지적이 나오고 있다. 관광도시의 기존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여 앞으로 100년 간 벌어먹을 새로운 사업을 발굴해야 함에도 기존 사업을 나열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서귀포시는 지역의 미래를 짊어질 신성장 동력산업을 찾아내도록 요구하고 있는데 비해 용역팀은 휴양특구 지정 이후에 구체적 사업을 찾아내야 한다는 입장만 되풀이되는 양상이다.
이처럼 휴양특구 용역추진 과정에서 엇박자를 드러내는 것은 진작부터 예견된 일이었다. 그동안 서귀포시가 막대한 사업비를 들여 시행한 용역이 별다른 쓸모없이 사장되면서 예산을 낭비한 사례가 허다한 때문이다. 이번 용역과정에서도 행정측은 완벽한 계획이 수립되도록 용역팀에 무작정 촉구하는 반면, 용역팀은 행정 부서에서 구체적 자료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며 책임을 떠넘기는 양상이다.
서귀포시가 시민들에 장밋빛 환상을 심어 준 휴양특구 지정이 결실을 거두려면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무엇보다 용역팀과 유기적 협조 아래 휴양특구의 밑그림이 될 기본계획이 철저하게 수립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용역과업을 지시하는 서귀포시측에서 보다 책임감을 갖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데 역량을 모아야 할 것이다. 용역 만능주의에 의한 행정 편의와 예산낭비로 시민들을 실망시키는 사례가 더 이상 재발돼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