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바람직한 현장토론회

2013-03-21     서귀포신문

 서귀포시가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민생현장의 실태파악을 토대로 현장토론회를 갖고 있다. 지난달 간부공무원들이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현장을 처음 방문한데 이어 이달에는 재래시장과 대형마트 등을 찾아 나섰다. 각 부서별로 직접 물건을 구매하고 대형마트와 재래시장의 가격을 비교하고 상인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절차를 거쳤다.

 토론회에서는 재래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이 대체로 많은 편이었다. 고객 편의를 위해 업소별 카드결제와 가격표시제, 영업시간 연장, 편의시설 확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향토음식 메뉴를 개발하고, 야시장 개설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가격경쟁력 높은 업소에 대한 홍보 강화, 재래시장 안내요원 확충 등은 검토사항으로 돌려졌다.

 이번 토론회는 지역상권 살리기를 위해 전 부서가 현장에 참가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 결과 민생현장의 생생한 시찰을 통해 시정 정책에 새로운 방안의 도입여부를 모색하는 기회가 됐다. 이 기회에 시정의 주요정책 수립 시 외부 용역기관에만 맡길 게 아니라, 행정이 가능한 범위에서는 직접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막대한 예산을 들여 작성된 외부용역이 참신한 내용 없이 쓸모없이 사장되면서 예산이 낭비된 사례를 수차례 지켜봤기 때문이다. 

 다만, 이번 토론회에서 아쉬운 것은 간부공무원들만 참가하고 상인 대표들은 배제된 점이다.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중국 관광객 급증에 따른 친절 서비스 개선 등 행정과 상인이 함께 풀어야 할 과제는 하나 둘이 아니다. 민과 관이 수레의 두 바퀴처럼 조화를 이루며 시정 발전에 동반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여건조성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