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불법소각, 언제 사라지나?

2013-07-13     서귀포신문

제주도가 수려한 자연환경으로 유네스코 3관왕 등에 선정되면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도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해 세계보전총회 개최 여세를 몰아, 오는 2020년에 세계환경수도로 조성하고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제주에서 제2의 인생을 펼치고 있는 귀농귀촌인 대다수도 청정환경에 이끌려 제주를 선택하게 됐다고 말한다.

이처럼 환경보전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음에도 시민들의 기초의식은 여전히 제자리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쓰레기 분리배출이 1995년 도입된 이후에도 쓰레기를 불법소각하는 사례가 여전히 성행하고 있다. 집이나 과수원 등지에서 생활쓰레기를 불태우느라 검은 연기와 악취가 진동하면서 시민들의 일상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불법소각과 더불어 쓰레기 무단배출도 고질적인 병폐의 하나다. 일반쓰레기 봉투에다 불에 타지 않는 쓰레기나, 이물질, 음식물 등이 함께 뒤섞이느라 쓰레기매립 과정에서 엄청난 낭비가 발생하고 있다. 동네 하천에다 농약 제초제를 함부로 버리면서 물고기가 떼죽음 당하는 사례도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서귀포에서 귀농귀촌을 일구는 도시민들 대다수는 주민들이 쓰레기를 스스럼없이 불법 소각하는 점을 커다란 불편사항으로 제시하고 있다. 제주 전통의 궨당 문화 여파로 일부 주민들은 쓰레기 불법소각이 단속대상인 줄 알면서도 차마 단속기관에 신고를 하지 못한다. 행정이나 소방당국도 주민들의 불법소각에 대해 계도활동에만 그칠 뿐, 실제 단속은 머뭇거리기 일쑤다.

최근 제주도에서는 세계환경수도 특별법 제정을 위해 범도민 운동차원에서 서명운동이 펼쳐지고 있다. 하지만 도민들 사이에 환경보전에 대한 기초의식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여건에서 세계환경수도 운운은 한참 시기상조에 해당된다. 7대 자연경관 선정과정에서 불거진 후유증을 교훈삼아, 20만을 목표로 한 서명운동보다는 도민들 사이에 불법소각이나 무단배출이 근절될 수 있도록 의식개혁이 더욱 시급하고 절실한 과제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