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남영호 추모사업, 재검토 필요

2014-05-27     서귀포신문

4년 전 발생한 남영호 사건이 또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남영호 사건은 1970년 12월 15일, 서귀포항을 출발해 성산포항을 거쳐 부산으로 향하던 남영호가 전남 여수시 소리도 앞해상에서 침몰한 사고다. 전체 탑승객 343명 가운데 선원과 승객 328명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되면서 해방이후 최대의 해양 참사로 기록되고 있다.

 남영호 사고가 뒤늦게 관심사로 떠오르는 것은 세월호와 마찬가지로 ‘인재’에서 비롯된 참사인 까닭에서다. 선박 안전관리 규정을 무시한 채 사리사욕에 눈이 어두워 승객과 화물을 과다 탑승한 채 운항하다, 거대한 파도에 휩싸여 가라앉고 말았다. 현금과 잡화, 농산물 등 엄청난 재산도 덩달아 바다 밑으로 사라졌다. 서슬 푸른 군사정권 시절, 당시 유족들은 제대로 시신 인수나 보상은커녕 ‘남영호’란 말조차 꺼내지 못한 채 40여년을 통한과 눈물로 지내 왔다.

 남영호 사고발발 직후 서귀포항에는 추모 위령탑이 세워졌다. 하지만 1982년, 서귀포항 도로개설 과정에서 위령탑은 엉뚱하게 상효동 산비탈 쪽으로 옮겨졌다. 자연히 유족들의 발길도 뚝 끊겼다. 서귀포시는 사고발생 43년 만인 지난해 11월, 민간인 중심으로 추모위원회를 구성하고 처음으로 위령제를 지냈다. 지난달에는 유족대표 모임도 구성하고, 정방폭포 인근에 새롭게 추모 위령비를 건립할 예정이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4월16일을 ‘국민안전의 날’로 지정하고 추모비를 건립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대통령 담화를 계기로 비록 남영호 위령사업이 뒤늦게 착수됐지만 명확한 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기를 염원한다.무엇보다 위령사업이 정치적 의도에서 아니라, 유족들의 추모여건 조성을 통한 도민화합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 일반도민들에 대해서도 안전 불감증을 일깨우는 산교육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서귀포시에 국한된 지난해의 추모행사를 범도민 행사로 승격시킬 필요가 있다. 현재 2000여명에 달하는 유족들이 서귀포시 외에도 제주시는 물론, 전국 각지에 뿔뿔이 흩어져 있어서다. 아울러 정확한 조난사고자와 유족 명단을 확보하고,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도 이뤄져야 한다. 제주도 차원에서 관련조례 제정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44년전 남영호 사고의 교훈을 철저히 깨달았다면 이번 세월호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뒤늦게나마 관련 희생자와 유족들에 진심어린 추모의 마음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