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식년제 동참 독려 차별화 정책은

‘감귤정책 일관성없다’ 지적 감귤휴식년제가 당초 목표량의 절반수준에 머물러 서귀포시가 비상체제에 돌입한 가운데 맛좋은 감귤생산을 통한 감귤차별화 정책은 뒷전으로 밀리고 있어 장기적인 측면에서 서귀포시 감귤정책 기조를 명확히 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서귀포시는 올해 노지감귤 생산 예상량이 19만5천t으로 예상됨에 따라 감귤휴식년제 사업을 7백30ha에 실시해 2만4천t가량을 감산할 계획이었다. 또한 간벌과 큰가지치기, 수상선과등을 포함해 모두 4만5천t의 감귤을 감산함으로써 15만t으로 생산량을 조절하기로 했다. 그러나 생산량 조절의 근간을 이루는 휴식년제가 3백91ha에 불과해 차질을 빚음에 따라 서귀포시는 1ha이상 감귤원 소유 공무원의 휴식년제 신청을 의무화 하는등 비상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하지만 제주도와 서귀포시가 추진중인 감귤휴식년제를 비롯해 큰가지치기, 수상선과등은 맛좋은 감귤생산이라는 측면보다는 생산량의 조절 측면에서 과도하게 시행됨으로써 농가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특히 서귀포지역은 1ha이상 경작하는 농가가 15%에 그치고 있으며 감귤이외의 재배작물이 없어 휴식년제의 도입이 어려운 여건이라 휴식년제의 목표달성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서귀포시가 시장공약사항으로 추진해온 감귤차별화 정책과도 성격을 달리하는 것으로써 장기적으로 서귀포시 감귤산업 발전을 위해 추진해 오던 정책이 당장의 감귤값 하락을 방지하기 위한 임시방편으로 인해 일관성을 상실한 처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감귤생산량의 조절을 통한 방법만으로는 감귤가격의 안정을 도모할 수 없다는 사실을 지난해산 노지감귤에서 체험한 상태임에도 감귤 질 향상 방안을 도외시한채 생산량 조절에만 안간힘을 쓰고 있는 감귤정책에 대해 지역 감귤농민들은 의아스럽게 바라보고 있다. 실제로 지역 감귤농가에서는 큰가치기가 대과발생을 초래한다는 지난해의 경험에 비추어 작은 가지치기를 주로하고 있어 생산량 조절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는 행정기관의 의도와는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휴식년제의 실시는 과잉생산이 우려되는 해에 한시적으로 시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감귤산업의 장래를 걱정하는 지역농민들에게 위안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따라서 서귀포시가 지역 감귤산업의 발전을 위해 추진해오던 장기대책의 범위내에서 감귤생산량 조절방안들이 시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대두되고 있다. 지난해 적정생산이 이뤄졌음에도 감귤가격이 하락해 지역주민들이 근심하던 와중에서도 비파괴선과기와 감귤브랜드화를 통해 차별화된 감귤이 제값을 받았던 점을 행정기관에서 유념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제258호(2001년 4월 13일)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