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제70주년 정명 학술대회’ 27일 오후 1시,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열려

제주4·3 70주년 한 해를 돌아보며 그 의의를 정리하기 위해 마련된 ‘제주4·3 제70주년 정명 학술대회’가 여러 진지한 논의와 열띤 토론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가 지난 27일 오후 1시,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제2대회의실에서 ‘제주4·3, 이름 찾기(正名)’ 는 주제로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1부 ‘제주4·3, 항쟁의 역사’와 2부 ‘정명正名을 이야기하다’로 나뉘어 진행됐다.

연세대학교 사학과 김성보 교수가 1부 토론회의 좌장을 맡았다. 그리고 이재승 교수(건국대학교)가 ‘제주4·3, 자결권, 점령법’을 주제로, 박태균 교수(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가 ‘교과서에서 4·3은 왜 아직도 사건인가’를 주제로, 양정심 제주4·3평화재단 연구실장이 ‘제주4·3, 이름 찾기에 대한 소고’를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먼저 이재승 교수는 국제법(국제점령법)의 관점에서 4.3의 정당성을 고찰했다. 이 교수는 “미국과 소련이 점령지역에서 우호적인 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국제점령법의 근본원칙을 유린했다”라고 전제한 후, 4.3은 점령법을 위반한 점령체제와 점령정책에 대한 전국적인 저항의 일환으로 정당한 저항권의 행사였다고 주장했다.

이어 서울대학교 박태균 교수는 “제주4·3이 공산주의자들이 주도하고, 불법행위가 있었으며, 실패한 항쟁이며, 항쟁과 학살 중 어떤 부분을 중심에 놓을지 애매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박 교수는 “경우에 따라 4.3 사건을 항쟁과 학살로 나누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며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지 않은 상황에서 성급하게 이름을 붙일 때 역풍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1부 마지막 발표자로 나선 양정심 실장은 “4.3의 정명 찾기는 유족과 진상규명 세력의 사회적 인식 확대를 요구한다”며 “정명의 논의의 장을 펼치려면 제도화된 현 단계의 진상규명운동의 질적 수준을 확장시키는 동시에 희생자, 유족, 제주도민, 나아가 한국 사회의 현대사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필요로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찬식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 운영위원장의 사회로 2부 토론이 열렸다.

주철희 역사학자는 법률적 규정과 역사적 정명은 다르다며, “지금까지 밝혀진 진상으로 볼 때 ‘제주4.3민중항쟁’으로 보지만, 해방 이전부터 이어진 제주 역사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4.3민중운동으로 볼 여지도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대중의 수긍과 합의로 정명을 찾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역사는 수긍과 합의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며 역사연구자의 적극적인 담론 제시와 유족회 등 시민단체의 선도적 역할을 주문했다.

박성인 노동자역사 ‘한내’ 이사는 70주년이 되어서야 4.3정명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상기하면서 “4.3은 패배한 민중항쟁”이었다며, 민중항쟁으로 인식한다는 것은 왜 실패했는지에 대한 비판과 성찰을 수반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명은 오늘의 현실에서 세상을 바꿀 주체와 전략을 복원하는 과정이며,”‘민중 주체의 자주적 독립국가’ 건설이 4.3항쟁의 희망이자 과제였듯이, 평화와 인권, 생태와 노동, 민주주의의 새로운 전망을 세워 싸우는 것이 4.3항쟁의 정신을 계승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최범 문화평론가는 “대한민국이 (4.3과 같은) 그러한 폭력의 공포 위에 건설되었다는 사실을 직시하고 그것을 극복”하여 제대로 된 공화국을 완성하고 “4.3의 희생자들을 공화국의 시민으로 다시 소환해야” 4.3이 진정으로 해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는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제주4·3희생자유족회와 함께 제주4·3 제70주년 전국화사업의 일환으로 오는 1일까지 다채로운 행사를 이어간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