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8년 10월 7일, 제주도민 700여 명이 일본인을 몰아내고 국권을 회복하겠다는 결의로 도순리 법정악 계곡 법정사에 모였다.

승려 김연일과 강창규, 방동화 등 항일운동의 주역들이 법정사에서 새벽 산길을 타고 내려와 도순리와 하원리, 월평리, 중문리, 등의 주민 700여명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중문 경찰관주재소를 불태웠다. 제주가 자랑하는 역사, 제주법정사항일운동이다.

한반도에서 일어난 3.1만세운동이 발발하기 5개월 전에 이미 제주도민들은 목숨을 걸고 일제에 항거했다.

그런데 전국에서도 제주가 가장 먼저 항일운동의 불꽃을 피운 이유가 있다. 우선, 강창규와 김석윤 등 당시 지휘부가 일찌기 반제국주의 사상으로 각성하기도 했지만, 당시 제주가 처한 처참한 현실이 민중 봉기의 도화선 역할을 했던 측면이 강하다.

일본의 수탈 특히, 강화도조약 이후 일본 잠수기선의 제주 진출은 주민들의 생존을 크게 위협했다. 이들은 당시 제주도의 해녀들의 나잠업을 방해했을 뿐만 아니라 섬에 상륙해 주민들을 폭행하고 가축을 수탈하기까지 했다. 대정의 오좌수의거비는 당시 일베 어업인들의 수탈과 그에 맞선 주민들의 투쟁을 증언한다.

제74주기 광복절을 맞고 있다. 항일 투사들의 끈질긴 투쟁의 결과로 광복을 맞았지만 여전히 우리는 주변 강대국의 간섭과 위협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일본은 과거 식민지배에 대해 제대로 사과도 않으면서 무역보복과 같은 방식으로 2등 국가의 자존심을 세우려 하고 있다.

최근 한일관계가 악화되면서, 광어양식업자들의 일본 수출길이 점점 좁아지고 있고 있다. 그리고 지난해 4월부터 일본 측과 6회에 걸쳐 한일어업협상 타결을 위해 협의했으나 아무런 결론도 내지 못한 채 협상은 1년 넘게 중단됐다. 제주의 어업인들은 어장을 잃고 근심하고 있다.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 일제의 침탈에 제주도의 어민들이 큰 피해를 당했던 것처럼 일본의 경제전쟁 도발로 인한 피해가 우리 광어양식업자들과 제주 연승어업인들이 생계에 위협을 당하고 있다.

법정사항일운동과 3.1만세운동을 뛰어넘는 지혜롭고 끈질긴 항일운동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다. 잠시 발끈하고 끝날 끝낼 일이 아니라, 우리의 경제구조를 되돌아보고, 외풍에 쉽게 휘둘리지 않도록 강한 경제 토대를 구축하는 일, 그게 21세기 항일독립운동이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