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제안 집필기준 적용 8종 검정 역사 교과서 발간
제주4‧3평화재단, 4・3에 대한 한국사 교과서 대폭 개선 환영

동아출판사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 <잊혀지지 않는 기억, 제주4&#8231;3사건>이란 제목 아래 “제주4&#8231;3사건은 냉전과 분단 그리고 탄압에 대한 저항이며, 수많은 민간인이 학살당한 비극이었다”고 서술하고 있다.

내년부서 제주도교육청이 제안한 4‧3집필기준이 반영된 역사 교과서가 공개됐다. 

제주도교육청은 내년 학교 현장에서 사용될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 제주도교육청이 용역을 통해 마련한 ‘4‧3 집필기준’이 최종, 반영됐다고 밝혔다. 

현재 공개된 8종(금성출판사‧동아출판‧미래엔‧비상교육‧씨마스‧지학사‧천재교육‧해냄에듀)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는 제주4‧3이 8‧15광복과 통일 정부 수립 과정을 이해하는데 알아야 할 ‘학습요소’로 반영돼 있다. 학습요소란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내용이다.

이전까지 대부분 한국사 교과서는 제주4‧3이 정부수립에 반대한 폭동이나 좌우대립의 소요사태 등으로 규정됐다. 이로 인해 교과서 편찬 때마다 4‧3에 대한 왜곡‧폄하 등의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 

1954년 마련된 1차 교육과정부터 5차 교육과정(1987년)까지 제주4‧3은 ‘북한 공산당의 폭동’이었다. 7차 교육과정(1997~2007, 검인정)에서야 민간이 희생 등이 서술되기 시작했지만 2000년까지 모든 교과서에서 제주4‧3을 폭동으로 규정했다.

노무현 대통령 당시 국가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면서 4.3 전개과정이 8·15 광복 이후 민족통일국가 수립의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위상이 정립됐으나, 이후 박근혜 정부가 추진한 국정 역사교과서에서 다시 폭동으로 왜곡하기도 했었다.

제주도교육청은 4‧3을 통일정부 수립 운동이 전개되던 시기에 일어난 민족사적 사건으로 새롭게 규정하기 위해 지난 2017년 9월부터 12월까지 3개월 동안 ‘검인정 역사교과서 4‧3집필기준개발 연구용역’을 진행했다.

용역을 통해 △8‧15 광복 이후 자주적 민족통일국가 수립 과정에서 제주4‧3의 역사적 위상 설정 △제주 4‧3 사건 진상보고서의 내용을 토대로 제주4‧3의 배경과 전개과정 및 의의를 객관적으로 서술 △진상규명과 관련자의 명예 회복 과정에서 성취된 화해와 상생,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드높이는 사례 등의 집필기준안의 기본 방향을 도출했다. 

이어 도교육청은 교육부와 역사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집필기준 시안을 개발 중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등을 대상으로 중‧고등학교 교육 과정 ‘학습 요소’에 새로운 집필 기준안을 반영해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했다. 

그 노력의 결과 2020년 3월부터 사용될 ‘중학교 역사‧고등학교 한국사 집필기준 개정 시안’에 제주4‧3이 <8‧15 광복과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의 필수 요소에 반영됐다. 

이번에 선보인 한국사 교과서마다 2003년 확정된 정부의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의 내용을 함축해 정리하면서 4‧3의 시발을 모두 1947년 3‧1절 경찰 발포사건에 초점을 맞춰 기술했다. 특히 동아출판사가 발행한 교과서의 경우, <잊혀지지 않는 기억, 제주4‧3사건>이란 제목 아래 “제주4‧3사건은 냉전과 분단 그리고 탄압에 대한 저항이며, 수많은 민간인이 학살당한 비극이었다”고 서술했다.

지난 11월 27일 최종 검정을 완료한 2020 한국사 교과서는 현재 최종 발간돼 내년 새 학년부터 사용된다. 

이석문 교육감은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해에 제주4‧3이 바르게 담긴 교과서를 도민들께 보일 수 있게 돼 매우 뜻 깊다”며 “새로운 집필기준이 최종 반영될 수 있도록 성원과 지원을 모아준 도민들에게 감사드린다. 4‧3이 더욱 상세하고 진실에 맞게 교과서에 실릴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제주4‧3평화재단, 4・3에 대한 한국사 교과서 대폭 개선 환영

제주4‧3평화재단(이사장 양조훈)은 17일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들 대부분이 제주4‧3의 역사기술을 대폭 개선한데 대해 환영의 논평을 발표했다.

4‧3평화재단은 논평을 통해 지난 11월 검정을 통과한 한국사 교과서 8종이 4・3의 역사를 <8・15광복과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 단원에 포함되면서 과거의 이념적 기술을 탈피, “단독선거 저지와 통일정부 수립을 내세운 무장봉기로 규정한 데 대해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양조훈 4‧3평화재단 이사장은 “여기에 오기까지 4‧3진상조사보고서 확정과 그 토대위에 2017년부터 시행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검인정 역사교과서 4・3 집필기준 개발사업’이 주효했다”면서 “새로운 청소년 세대가 올바른 교과서를 통해 4・3의 진실을 제대로 인식하는 전환의 시기가 왔다”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