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산 감귤 값이 예년에 비해 크게 하락하면서 지역경제 전반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2000년대 들어 유례없는 감귤 값 폭락사태에 농민들은 영농정책 자금 상환은 고사사하고 농자재 값조차 건지기 힘든 지경이라 토로하고 있다. 일부 농민단체는 노지감귤 폭락이 만감류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하면서 행정당국에 손실보전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감귤의 유통처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시점에서 감귤 값 하락에 따른 대처방안을 놓고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감귤 값 하락배경으로 일기 불량 등 여러 요인이 꼽히고 있지만, 1번과나 비상품 출하 관행이 여전한 탓이라고 대도시 중도매인들 상당수가 지적하고 있다. 이들은 감귤이 이미 겨울철 대표 과일 자리를 딸기에 내준 상태에서, 비상품 감귤이 계속 출하된다면 소비자들이 갈수록 다른 과일로 눈을 돌리게 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실제로 2014년산 노지감귤 유통 단속에서 679여건이 무더기로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 동기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건수로, 비상품 감귤 출하가 가격하락에 한몫 거들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제주도가 뒤늦게 비상품 감귤의 추방대책 마련에 나섰다. 공영 도매시장 관련 기관단체와 업무협약을 맺고, 강제 착색 및 비상품 감귤이 도매시장 등에 유통되지 않도록 공동보조를 취하도록 했다.

  2015년산 노지감귤부터 감귤생산 실명제도 시범 도입키로 했다. 감귤출하 시 포장상자에 농가 성명, 전화번호, 규격, 품종 등을 표기함으로써 감귤농가의 자긍심 고취와 함께 감귤 구매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감귤 실명제를 도입한 우수 조직에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반면, 이행치 않은 조직에는 보조사업 배제 등의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연차적으로 농가 인적사항 이외에 맛(당도, 산도)까지 추가 표기할 계획이다.

  FTA 체제에 따른 수입개방을 앞둔 시점에서 비상품 감귤이 계속 출하되는 것은 농가 스스로 제 무덤을 파는 격이다. 감귤값 하락은 물론이고, 소비자들의 신뢰를 떨어뜨림으로써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자초하게 된다. 날씨야 하늘 탓으로 돌릴 수 있겠지만, 비상품 가격 출하는 농가들 스스로 충분히 막아낼 수 있다. 행정이나 단체 차원의 요란한 대책마련 보다 농가들의 의식개혁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