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보훈의 달이다.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순국선열, 호국영령, 민주열사들의 넋을 기리면서 삼가 명복을 빌고 유가족들에게도 위로를 전한다. 오늘의 대한민국을 가능하게 만든 모든 국가유공자들의 헌신은 물론 그 가족들에게도 경의를 표한다.

지난 6일, 제62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행한 문재인 대통령의 추념사는 국민들에게 다시 한 번 잔잔한 감동을 안겨 주었다. 추념사만이 아니었다. 문재인 대통령 내외 옆자리에는 국가유공자와 지뢰 사고로 부상을 입은 상이군경 등이 함께했다. 추념식에 이어 ‘무명용사의 탑’을 찾아 헌화, 분향하기도 했다.

기념식을 지켜본 대다수 국민들은 ‘이제 기념식 방송도 볼만하다’고 말하는 것을 들으면, 격세지감이 아닐 수 없다. 우리는 대통령의 추념사에 담긴 의미를 다시 반추해 볼 필요가 있겠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지나온 100년을 자랑스러운 역사로 만든 것을 ‘애국’이라 규정했다.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를 지킨 것은 독립운동가들의 신념이었다면서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을 하면 3대가 흥한다는 뒤집힌 현실이 여전’한 점을 안타까워했다. 독립운동가의 후손들이 겪고 있는 가난의 서러움, 교육받지 못한 억울함, 그 부끄럽고 죄송스런 현실을 그대로 두고 나라다운 나라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애국의 대가가 말뿐인 명예로 끝나서는 안되는 까닭에 독립운동가 한 분이라도 더, 그 분의 자손들 한 분이라도 더, 독립운동의 한 장면이라도 더, 찾아내고 기억하고 기리겠다는 그 약속을 지켜보고자 한다. 그것이 국가가 해야 할 일이라는 대통령의 신념을 믿고자 한다.

민주화·인권신장을 위해 헌신하다 희생당한 이들은 물론 산업화 과정의 파독 광부와 간호사, 봉제공장 여성 노동자 등 평범한 국민의 헌신 역시 '애국자'였음을 강조했다. 애국하는 방법은 달랐지만 그 모두가 애국자였다는 의미부여와 함께 보수와 진보로 나눌 수도 없고, 나누어지지도 않는 그 자체로 온전한 대한민국이라는 말은 국민통합의 시발점으로서 애국의 중요성 피력에 다름 아니다.

애국의 역사를 통치에 이용한 불행한 과거가 있었음을 인정하면서 “전쟁의 후유증을 치유하기보다 전쟁의 경험을 통치의 수단으로 삼았던 이념의 정치, 편가르기 정치를 청산하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의지를 기록해두고자 한다.

문재인 대통령의 “보훈이야말로 국민통합을 이루고 강한 국가로 가는 길”이라는 선언은 추념사에서 밝힌 바처럼 “국가를 위해 헌신하면 보상받고 반역자는 심판받는다는 흔들리지 않는 믿음”으로 충만한, 나라다운 나라를 국민들과 함께 만들어 나가겠다는 의지요 각오라 할 것이다. 그래서 진정으로 ‘애국이 보상받고, 정의가 보상받고, 원칙이 보상받고, 정직이 보상받는’ 나라로서 대한민국이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