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월 여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는 ‘제주다움’을 회복하는 선거, 그동안 쌓여온 적폐를 청산하는 선거로서 유의미하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 분권모델의 완성'을 국정과제로 정한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치러지는 첫 지방선거로서 지방자치와 분권 모델 제주특별자치도를 이끌 민선7기 수장 선출의 막중한 임무가 부여되어 있다.

사실 제주도에는 그동안 우근민 신구범 김태환 적폐 도정의 잔재가 수십년째 씻기지 않은 채 대물림되고 있다. 민선6기 원희룡 도정 역시 출범 당시 모아졌던 도민의 기대를 저버리고 그 폐단을 답습했을 뿐만 아니라 난개발 위주의 ‘겉 다르고 속 다른 정책 집행’으로 도민들에게 커다란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였다’는 도민들의 원성이 자자한 까닭이다. 도민들의 피로감이 누적되어 온 상황 속에서 다가오는 6‧13 지방선거에서 도민들은 제주의 비전과 미래를 담보해낼 신선한 리더십의 출현을 고대하는 것이다.

2016년 20대 총선 당시 ‘오영훈‧위성곤 국회의원의 당선’처럼 도민사회에 바람을 일으켰던 신선한 후보 선출을 기대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진보와 보수, 중도 등을 내세우는 정당 중심의 정치 지형이나 이념, 또 거기에 항상 뒤따랐던 돈과 조직, 패거리에 의한 선거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여론에 귀기울여야 한다. 도민 위에 군림하면서 누릴 것 다 누린 기득권 세력이 도지사가 되어서는 안되는 이유이다.

철저하게 도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미래지향적 인물이 민선7기 제주도정을 이끌 지도자로 선출되어야 한다는 명제가 시대적 당위, 소명으로 떠오르고 있다. 결코 인구 증가 현상과 제주를 찾는 관광객 급증이 반가운 일만은 아니다. 100년 앞을 내다보는 도정 운영 계획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당장 닥쳐 있는 난개발에 따른 문제 해결, 대중교통과 쓰레기, 상하수도 문제 대응과 향후 대안 제시, 특히 제주4.3 70주년의 해를 맞아 4‧3의 완전한 해결은 물론이고 제2공항 갈등, 강정마을 공동체 회복 등도 당장 시급하게 해소해야 할 과제이다.

무엇보다도 다가오는 지방선거에서는 제주를 망가뜨려온 ‘우‧신‧김 시대’로 대표되는 편가르기, 패거리문화에서 빚어진 적폐를 최우선적으로 청산 가능한 리더 선출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