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총선 정국이 도래하고 있다. 내년 4월 11일 치러지는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지난 13일부터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됐다. 앞으로 4개월간 정당별 공천과 정식 후보 등록 등의 대장정을 거치며, 서귀포시에도 정치열기가 후끈 달아오를 것으로 보인다.
내년 총선에 출마하는 후보군들의 윤곽도 어느 정도 가시화되고 있다. 내년 연말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최근 여야모두 정치적 격랑에 휩싸이면서 여러 변수가 돌출될 가능성은 남아 있다.
하지만 출마 후보군들의 면면이 그동안 수차례 언론에 오르내리면서 일단 6~8명 선으로 좁혀지고 있다. 총선을 앞둔 시점에서 특정 정당에 의한 예상 밖 인물의 전략공천 여부는 논외로 쳐 둔다.
최근 서귀포시에는 총체적 난국이란 표현이 나돌 정도로 각종 현안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무엇보다 지난 민선 도정 시절부터 화약고처럼 떠오른 제주 해군기지 문제가 여전히 해결점을 찾지 못한 채 사회갈등을 고착화하고 있다. 지난해 지방선거에서도 주요 쟁점이 됐으나, 별다른 진전이 없는 상태다. 벌써부터 일부 출마예상자들의 종전 해군기지 행적을 놓고 시민들 사이에 논란이 제기되고 있기도 하다.
한미 FTA 협정 체결에 따른 1차 산업의 위기도 감귤 주산지인 우리 지역에서 ‘발등의 불’이다. 감귤산업이 무너지면 지역 경제기반이 송두리째 무너지는 현실을 수차례 겪은 터라, 이번 총선에서는 지역경제의 회생방안도 빼놓을 수 없는 주요 쟁점이다. 이외에도 탐라대와 중문단지 매각, 혁신도시 지연 등 당면 현안은 부지기수다.
서귀포시에 이토록 현안이 산적한 것은 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기초자치 폐지와 무관하지 않다. 종전에는 지역의 당면 현안에 대해 기초단체와 기초의회 등에서 그때그때 처리했으나, 모든 행정권한이 제주도에 넘겨지면서 서귀포의 현안은 정치권에서 거의 방치되고 있다. 대형 국책사업 추진이 많은 서귀포시에서 도지사 못지않게 국회의원 역할과 비중이 높은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서귀포시가 산적한 난제들을 극복하고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이번 총선이 주요 전기가 될 전망이다. 최근 사회경제단체 등을 중심으로 지역 현안에 대해 서명운동과 집회 등을 통해 제 목소리를 내는 것은 고무적인 현상이다. 지역사회 위기를 스스로 헤쳐 나가려는 시민의식이 한껏 드높은 점을 감안해 총선 출마예정자들의 수준 높은 정책과 비전을 제시해 줄 것을 간곡히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