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9월 제주도에서 열리는 2012 세계자연보전총회(WCC) 개최가 10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제5차 WCC(9월6~15일)는 유네스코 3관왕을 달성한 제주에서 처음 개최되는 대규모 국제환경 행사란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환경 올림픽이라 불리며 4년마다 개최되는 대표적 환경회의란 명성에 걸맞게 세계자연보전연맹(IUCM) 산하 전 세계 180여개국 1156개 회원 및 기관 단체 등 1만여 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자연의 회복력을 주제로 내건 이번 제주 WCC는 제주도 전역 11개소에서 분산개최될 예정이다. 주 행사장인 제주컨벤션센터 일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어서 사실상 서귀포시가 개최지와 다름없는 셈이다. 환경부는 이번 제주 WCC의 개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로 생태관광 효과와 국가브랜드 홍보효과 등을 포함해 총 341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경제적 파급효과 외에도 제주 WCC의 개최로 인한 기대효과는 수치로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막대하다. 무엇보다 제주의 자연환경 자산보전 및 가치창출을 전 세계 환경전문가들에 통보함으로써 제주가 세계 환경수도로 발돋움하는 기회를 맞이하게 된다. 국제회의 개최에 따른 생태관광 환경 인프라 구축이라는 부수 효과도 거두게 된다. 특히 세계 최고의 녹색휴양도시를 시정의 슬로건으로 내건 서귀포시로서는 목표 달성의 좋은 기회를 얻게 된다. 세계 최대 규모의 마르형 분화구인 하논 분화구가 주요 의제로 채택될 경우 국비 지원의 길도 열리게 된다.
서귀포시 간부 공무원들이 지난 16일 제주 WCC의 성공개최 방안을 주제로 주제로 정례 토론회를 벌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제주 WCC의 주요 사업이 확정된 시점에서 전 공직자들이 남은 기간 동안 행사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역량을 결집하자는 다짐도 곁들여졌다.
이번 토론회에서도 제기됐듯이 행사의 성공개최 여부는 시민들의 관심 및 참여의식 제고가 관건이 되고 있다. 제주 WCC가 지니는 각별한 의미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이 행사 자체에 대해 잘 모르거나, 대규모 국제행사 개최에 따른 주인의식이 미흡하다는 지적들이다.
서귀포시가 그동안 굵직한 국제행사들을 성공적으로 추진한 저력을 바탕으로, 앞으로 남은 기간 시민들의 참여방안을 높이는데 총력을 쏟아야 할 것이다. 우리 지역을 찾는 전 세계 참가자들에 생태관광 도시의 이미지를 각인시키기 위해 시민과 관광업소 종사자들에 대한 친절교육 강화도 시급하다. 안방에서 치러지는 대규모 국제행사가 지역발전의 새로운 전기가 되도록 민관이 하나 되는 방안을 서둘러 모색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