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0개 혁신도시 가운데 가장 먼저 추진된 제주 혁신도시의 균형발전 효과 극대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토론회가 최근 서귀포시에서 열렸다. 참여정부 시절인 2007년 본격 추진된 제주 혁신도시는 당초 시민들에 지역균형발전과 인구유입에 대해 커다란 기대를 심어줬다. 하지만 정권교체를 계기로 일부 공공기관의 이전 기피,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 미흡 등으로 적잖은 고비를 넘기기도 했다.

 제주 혁신도시는 사업추진이 다소 지연되고 있지만, 올해 말이면 2단계 사업준공이 완료되면서 본격적인 혁신도시 시대가 열리게 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혁신도시 준공을 계기로 신시가지는 물론 서귀포시 전체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 것은 각별한 의미를 갖고 있다. 제주 혁신도시 규모와 사업추진 과정이 다소 기대에 미흡하더라도 사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

 이번 토론회에서도 각계 전문가들에 의해 제기됐지만, 제주 혁신도시가 발전하려면 무엇보다 중앙정부의 지원강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전 공공기관 중 한국국제교류재단과 재외동포재단이 예산문제로 청사 신축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혁신도시 내 상당 면적의 산학연 클러스터 용지는 여전히 분양이 안 된 상태다. 혁신도시가 국가적 프로젝트인 점을 감안해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중앙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전기관 직원과 가족들을 위한 정주여건 개선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혁신도시 준공을 계기로 인구유입을 위해서는 교육‧ 의료‧ 문화관광 등 정주여건이 개선돼야 하나 현실여건은 모든 면에서 빈약하기 짝이 없다. 혁신도시 기능과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이전 공공기관과 도내 대학‧ 유관기관 등과 협력체계 구축으로 상생방안이 구축돼야 한다. 이를 토대로 제주 혁신도시를 명실 공히 국제교류와 교육연수의 중심으로 육성하고, 제주지역 인재들의 고용창출 노력도 요구되고 있다.

 무엇보다 제주 혁신도시가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도약하려면 산학연 클러스터 용지의 활용방안이 주요 과제가 되고 있다. 당초 계획에 잡인 교육, 의료, 물산업, 인쇄출판업 등은 제주지역 기존 단지와 중복되며 지역경제 파급효과도 미미하리란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서귀포만의 특화산업 발굴과 허용가능 유치산업 확대, 이전기업 지원제도 확대 등이 요구되고 있다. 제주 혁신도시가 지역불균형을 바로잡고 서귀포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시민들의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