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조류의 급성 전염병인 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AI)가 전국을 강타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발표에 의하면 25일 자정까지 AI 여파로 매몰 처분됐거나 매몰 예정인 닭과 오리는 531농가에 2,614만 마리를 넘어섰다. 아직 제주도만 예외라고 해서 안심할 단계가 아니다. 청정지역으로서 굳건하게 지켜내려면 지금보다 더한, 철저한 방역과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 

정부에서는 일주일 안에 AI 발생추세를 진정시키는 것을 목표로 세웠으나 현재 확산추세를 살펴보면 정부의 대응은 구두선에 그칠 우려가 크다. 전국적으로 계획되었던 해넘이해맞이 행사들이 줄줄이 취소되는 사태도 이와 무관치 않다. 가급적 확산을 최소화하자는 노력의 일환이다. 

제주의 경우에 AI 바이러스 유입 차단에 만전을 기하고 있기는 하나 단순한 예찰 방제, 차단 방역에 그치는 실정이다. 지난 27일 도정 정책회의에서 원희룡 지사의 언급에서 드러나듯이 "청정제주를 지키자"는 당부 정도에 그치고 있다는 의구심이 드는 것이다. 

제주도가 밝힌 고강도 차단방역 강화 대책으로 '철새도래지, 가금농가에 대한 소독 지원을 주 2회에서 주 3회 이상 실시','도내 가금농가에 대한 소독약품 지원', '상세한 소독방법 및 차단방역 요령'을 농장주 및 출입연관자(사료, 알수송, 분뇨처리 등)를 대상으로 SMS 등을 통한 행정지도를 매일 1회 이상 실시, 12월에서 1월까지 매주 철새도래지 등에서 야생조수 분변 채취 검사 정도로는 역부족 아닌가. 

55호, 319,000수의 가금류 사육이 이뤄지고 있는 서귀포시는 기존 축산과 주관으로 운영되던 AI가축방역대책본부를 시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AI 재난안전대책본부로 확대 운영하고 있다. 말만 앞서지 말고 "가금류 농가들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는 약속을 반드시 지켜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차제에 가금류의 공장형 사육 방식을 과감히 폐기하고 가금류의 생명가치를 존중하는 방향, '동물복지형 농장' 등 정책 전환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