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마을회와 범대위 등 , 연산호 훼손 숨겼다 복원 시도하는 해군 비난

강정 앞바다에 연산호 군락지가 서식하고 있다.사진은 강정마을회, 범대위 등이 연산호 군락지를 보호하기 위해 관찰하며 촬영한 것이다.)

제주해군기지 건설로 강정 앞바다 연산호 군락지가 크게 훼손된 사실을 확인한 해군 문서가 확인됐다. 강정마을회와 시민단체들은 그동안 공개적으로는 연산호 군락지 훼손을 인정하지 않았던 해군과 문화재청을 비난했다.

강정마을회, 해군기지전국대책위원회, 제주군사기지저지와평화의섬실현을위한범도민대책위원회(이해 범대위)는 2일 성명을 내고 해군과 문화재청을 비난했다.

이들은 그동안 해군과 문화재청은 연산호 군락지의 훼손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입수한 보고서 ‘제주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주변 천연보호구역 연산호 생태 사후조사’(해군본부, 2015년 10월)에는 해군기지 공사로 인한 연산호 훼손이 명시됐다는 것.

이들은 “보고서는 문화재청이 2014년 6월 해군 측에 요구해 진행한 용역사업으로,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 내용을 담고 있다”고 말했다.

해군의 용역을 받은 성균관대 조사팀은 이 보고서에서 해군기지와 가장 인접한 강정등대에서 50%이상의 지표생물군에서 상대적인 감소가 발생했고, 특히 최우점종인 분홍바다맨드라미의 상대적 감소가 두드러진다고 밝혔다.

강정마을회 등은 “해군본부의 용역을 받은 성균관대 조사팀의 연구 결과는 강정마을회와 범대위 등이 수년간 제주 강정 앞바다 연산호 모니터링을 통해 발표한 내용과 같다”고 주장했다.

강정마을회 등은 “해군은 지난해부터 연산호 복원을 향후 3년간 추진하겠다는 계획 하에 인공복원을 시도하고 있지만, 이러한 복원사업이 제대로 추진될 수 있을지 검증된 바는 없다”고 지적했다.

오히려 “해군기지 완공 이후 기지를 드나드는 선박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과 프로펠러의 너울로 인한 외상 등으로 연산호 군락에 되돌릴 수 없는 훼손이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강정마을회 등은 환경부를 향해 “멸종위기 산호충류의 훼손과 보전에 관한 로드맵을 작성하라”고 주문했고, 문화재청에 대해서는 “해군이 추진하는 연산호 복원사업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강정마을회가 참여하는 중장기적인 보전 계획을 수립하라”고 요구했다.

유네스코는 지난 2002년에는 범섬 일대를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했다. 그리고 지난 2006년 환경부는 강정마을을 자연생태우수마을로 지정한 바 있다. 강정마을 앞바다에는 천연기념물 제442호로 지정된 연산호 군락지가 분포한다. 지난 2011년부터 강정마을에 해군기지 공사가 진행되면서, 연산호에 대한 훼손이 주요 문제로 부상했다.

해군과 문화재청은 그동안 연산호 군락지 훼손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작년 도내 모 방송사의 보도로 해군이 테트라포트 등을 이용해 강정마을 인근에 연산호 군락지를 복원하는 사실이 알려졌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