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관광객들이 보이지 않아 한결 조용해졌다는 소도리를 여기저기서 들을 수 있다. 중국이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3월 15일 이후 한국여행 전면 금지령을 내린 조치와 관련해 제주 관광이 직격탄을 맞게 됐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게 일고 있다.

롯데면세점 등 대형 면세점 매출 급감은 물론이고 한때 중국인들로 넘치던 신제주 바오젠 거리를 비롯해 일부 재래시장 등에서도 매기가 뚝 끊겼다는 전언이다. 중국 관광객 특수는 이미 먼 옛말이 되어버린 느낌이다.


중국노선 항공편 운항 중단, 감편 사태를 비롯해 단체관광을 예약했던 중국 관광객들의 예약 취소도 잇따르고 있다. 제주도 발표에 의하면, 제주관광 예약 취소 실태 파악 결과, 지난 7일 기준으로 벌써 11만3100여명으로 나타났다. 제주도는 올해도 중국인 관광객 유치 목표를 항공편과 크루즈 관광을 합쳐 306만 명으로 세우고 있다. 현 추세라면 반토막은커녕 200만 이상 감소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된 사업체는 물론 도내 중소상가의 걱정은 이제 남의 일이 아닌 것으로 목전에 대두된 상황이다.


서귀포시에서도 이미 그 여파가 진작 나타나고 있음을 도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매일올레시장도 중국 관광객들의 발길이 예전 같지 않다. 중국 관광객 특수를 누렸던 성읍민속마을의 경우는 이미 영업 방향을 중국 관광객 대상으로 전환하고, 점원들 역시 중국어 통역이 가능한 조선족들을 주로 고용한 터여서 그 타격은 더욱 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성산읍 지역 상가 역시 사정은 대동소이하다.


중국인 대상 주요 관광업계 등의 피해 발생에 따른 대책을 관광공사, 관광협회 등 유관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히는 제주도 당국의 대응은 너무 미온적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강경 대응 모드로 급선회함에 따라 제주도가 취할 수 있는 대책은 없어 보인다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더욱 크다 하겠다.


문제는 사드의 한반도 전진 배치도 문제이지만 제주의 군사기지화 움직임도 중국의 대 한국 보복의 빌미가 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 정부의 지혜로운 정치·외교적 수습 방안이 나와야 함에도 정부는 한 술 더 뜨고 있어서 제주 관광산업에 미칠 영향을 타개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제주도에서 밝혔듯이 중국 의존도에서 벗어나 관광시장의 다변화를 꾀하는 한편 당장 닥쳐있는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동원가능한 모든 채널을 활용하는 대중국 교섭노력 등도 병행해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