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이 위기라고 한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미디어들이 쏟아지면서, 미디어 빅뱅이란 말이 자연스레 나오고 있다. 쏟아지는 미디어들이 기존의 신문과 방송 체계를 뒤흔들면서 가장 오래된 매체인 종이신문은 설 자리를 잃고 있다.

그런데 위기가 종이신문에만 찾아오는 건 아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팟 캐스트, 유튜브 등 뉴미디어의 과잉 공급은 개별 언론사의 경영 위기를 낳았다. 한때 대안으로 인식되던 매체들이 더 이상 대안이 되지 못한다. 난립하는 매체는 오히려 언론에 대한 불신을 낳고 있다.

언론은 생존경쟁에 내몰려 윤리문제 등은 뒷전에 미뤄놓은 상태다. 위기는 불신을 낳고 불신은 위기를 부채질한다. 특히 지역신문은 대부분 개별기업의 수중에 들어가 언론의 공공성이 심하게 위협받고 있다.

‘지역 주간신문 활성화를 위한 정책개선 방향에 대한 토론회’가 지난 25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렸는데, 언론의 위기와 관련한 여러 문제들은 이곳에서도 드러났다.

토론회에서 공개된 문화체육관광부 자료에 따르면 정부가 지역신문발전기금으로 책정한 예산은 노무현 정부 시절이던 지난 2006년 213억 원이었는데 이명박 박근혜 정부를 거치며 점점 줄었다. 그리고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인 지난해에는 77억 원으로 대폭 감소했다. 정부가 예산을 계속 삭감하는 것은, 대중의 불신에 기대어 지역언론을 옥죄려는 의도로 읽힐 수 있다.

미국 신문편집인협회 윤리강령 제 1조에 저널리즘은 ‘국민에게 그 시대의 문제가 무엇인가를 알려주고, 그에 대해 판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적 번영에 봉사하는 일’이라고 규정했다.

언론이 특정 개인이나 기업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문제를 공유하고 궁극에는 사회의 번영에 봉사하는 공적 기구다. 언론사에 종사하는 직원들도, 정책을 입안하는 당국자들도 이를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서귀포신문이 27일 새로운 대표이사를 맞는다. 이날 송형록 대표이사의 후임으로 김성은 대표이사가 취임한다. 김성은 신임 대표이사는 독자와 시민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고, 사회의 건강한 목소리를 대변하는 신문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서귀포신문 구성원들은 신임대표의 포부에 이바지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