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식 후보가 대평리 마을회관을 찾아 대평어촌계와 간담회를 가졌다.(사진=박찬식 선거캠프 제공)
박찬식 후보가 대평리 마을회관을 찾아 대평어촌계와 간담회를 가졌다.(사진=박찬식 선거캠프 제공)

박찬식 제주특별자치도지사 후보는 517일 대평리 마을회관을 찾아 대평어촌계와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에는 대평리장 김창남, 대평리 어촌계장 오연수, 어촌계 대의원 조연화, 김영희, 라영순, 고정열, 장애순, 양영희님 등 8명이 참석했다.

대평리는 화순에 있는 남부발전소의 방수온류와 화순항방파제 증축공사로 인한 해양생태계 피해가 가장 심한 마을이다이날 간담회에서는 남부발전소로부터 년 700만 원 상당의 전복 종패를 보상으로 받고 있는데, 이 정도의 종패로는 수익을 낼 수 없을 지경이라며, 해녀 은퇴수당이 만 80세부터여서 몸이 불편한 해녀들이 물질을 하다 사고를 빈번히 당하는 문제 대평리 해녀 판매시설 부재 어민수당 지급 요구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이 제기됐다.

박찬식 후보는 이미 해양보존정책을 발표했는데, 제주연안의 오염을 적극적으로 예방하고 보존하며 어민과 해녀의 이익을 지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품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평리같이 공공시설인 발전소 운영 피해지역에 대한 특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점과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 문제에 대한 폭넓은 대처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에 적극적으로 공감한다”라고 밝혔다.

박찬식 후보는 이날 간담회에서 유네스코 인류 무형유산으로 등재된 해녀문화를 지원하기 위해 지급되는 은퇴수당 지급 나이 기준을 만 80세에서 만 75세로 낮추고 지급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연장 현재 남부발전소에서 지급하는 보상은 방류온수에 따른 피해배상이 아닌 배기가스 피해배상에 해당한다. 방류온수에 따른 해양생태계 피해조사가 현재 진행되고 있기에, 이에 따른 비교분석 자료를 최대 30년 전까지 수집해 검토해 피해가 입증되면 합당한 배상 진행 CPTPP 조약체결이 진행된다면 해산물 100% 관세철폐와 함께 유류지원도 끊겨 어민들은 생존의 위협이 커지는 상황이 된다. 이에 대비한 어민수당 지급을 적극 검토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에 대비해 제주도 전체 해양에 대한 방사능 조사 및 데이터를 축적 대평리에 판매장을 포함한 해녀지원시설을 조성 등을 약속했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