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 기억과 공감, 서귀포시 미래문화자산을 찾아라 ①] 문화도시와 미래문화자산

2021년 서귀포시 미래문화자산에 선정된 망장포, 미래문화자산 추진단이 현장에서 마을 이장의 설명을 듣는 장면이다.(사진=장태욱 기자)
2021년 서귀포시 미래문화자산에 선정된 망장포, 미래문화자산 추진단이 현장에서 마을 이장의 설명을 듣는 장면이다.(사진=장태욱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지역문화진흥법」을 근거로 법정 문화도시를 지정하고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한다.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해 지역발전을 촉진한다는 게 문화도시 지정의 취지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모든 도시는 특별하다’는 슬로건을 제시하며, 도시가 자신의 특색을 중심으로 문화 역량을 강화하면, 규모와 인구의 수, 문화시설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법정 문화도시가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지난 2018년 1차 선정에서부터 2021년 4차 선정까지 문화도시 지정을 신청한 전국의 지자체는 총 134개인데, 그 가운데 2022년 현재 법정 문화도시로 지정된 도시는 18개에 불과하다.

서귀포시는 지난 2018년 8월에 ‘105개 마을이 가꾸는 노지(露地) 문화 서귀포’라는 슬로건으로 예비도시로 신청했고, 그해 12월에 예비 문화도시로 승인됐다. 그리고 1년 동안의 예비사업을 거친 후 2019년에 법정 문화도시에 선정됐다.

전문가들은 문화도시 사업이 시민이 참여하는 문화적 시민운동으로 규정한다. 문화도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기본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미다. 물론 사업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고 사업을 추진하는 최종적인 책임과 권한은 행정에 있다. 이때, 행정과 시민사회 사이에서 일이 원만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조정하고, 자문하는 전문가들의 지원이 필요하다. 결국, 사업을 추진하려면 적극적인 주민, 열린 행정, 경험 있는 전문가들이 균형 있게 정책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이런 필요로 설치된 게 문화도시센터다.

제주자치도는 지난 2018년 문화도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문화도시 기본 조례를 제정했다. 조례 제10조에 도지사는 문화도시 조성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문화도시센터를 설치·운영하도록 했다. 그리고 센터는 ▲문화도시 사업의 기획·관리 총괄 ▲사업의 예산 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문화도시협의체 구성·운영 등을 수행하도록 했다. 서귀포시문화도시센터(센터장 이광준)는 거버넌스의 핵심 주체로서 사업을 기획하고 총괄하고, 주민교육을 통해 인력을 육성하며, 주민의견을 수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서귀포시는 지난 2020년 법정 문화도시 본사업을 시작해 올해로 3년 차를 맞는다. 코로나19가 확산하는 악재 속에서도 서귀포 문화도시는 지속 가능한 생태문화도시 조성을 위해 △문화 재생 기반 시설 인프라 구축 △문화 전문 인력 양성 △노지문화 콘텐츠화 △문화 거버넌스 활성화 등 기반을 다지는 사업에 집중한 결과,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하는 법정문화도시 성과 평가에서 2020년 ‘우수’ 도시, 2021년 ‘선도(최우수)’ 도시로 선정됐다.

서귀포시는 지난 2년 간 문화도시 사업으로 ▲지역 유휴 공간 문화재생 기반 문화공유공간 조성(3개소) ▲창의문화캠퍼스 창의문화농부 배출(24명) ▲미래문화자산 선정 등을 추진했다. 그리고 제주어 날마다 일력을 제작하는 등 문화도시의 기반을 단단하게 다진 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서울시 미래유산에 선정된 이문설농탕. 가게 입구에 미래유산 동판이 걸렸다.(사진=장태욱 기자)
서울시 미래유산에 선정된 이문설농탕. 가게 입구에 미래유산 동판이 걸렸다.(사진=장태욱 기자)

이 가운데 미래문화자산 선정 사업은 서귀포를 대표하는 유산 가운데 국가·제주도 등이 지정하거나 등록한 문화재로 등재되지 않은 유·무형 자산을 찾는 일이다. 대상은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과 관련된 장소, 시민에게 잘 알려진 공통의 기억 공간 등을 총망라한다.

과거에 중요했던 자산이 현재에 문화재로 등재되듯, 현재 중요한 것에 미래세대에 문화자산이 될 수 있다. 그런데 현대 사회는 모든 게 빠르게 변하고 많은 것이 사라져 없어지기 때문에, 시민의 삶이나 기억 속에 중요하게 남은 것들을 보전하는 일이 시급해졌다.

시민의 힘으로 도시의 가치를 찾고 확산하는 일인데, 그 원조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서울미래유산에서 찾을 수 있다. 서울시는 지난 2013년 서울의 역사를 미래 세대에게 전하기 위해 가치가 있는 자산을 발굴해 보전하는 사업으로 서울미래유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서울사람들이 근현대를 살아오면서 함께 만들어온 공통의 기억 또는 감성을 간직한 보물을 발굴해 미래세대에게 전한다는 게 프로젝트의 취지다.

시민·서울시·자치구·전문가 등이 홈페이지와 사회관계망(SNS)를 통해 미래유산 후보를 신청하면 서울시가 사실 검증과 자료 수집을 위해 조사에 나선다. 이후 미래유산보존위원회가 후보를 심사하고, 소유자 동의 과정을 거치면 선정 여부가 결정된다. 유산 소유자는 인증서와 동판 형태의 표식을 받게 된다.

서귀포문화도시센터도 지난해부터 서귀포시민의 삶과 기억 속에 깊이 각인되고, 공감을 불러올 만한 대상으로 미래문화자산을 선정하는 일에 나섰다. 지난해에는 시민과 여행객이 총 46개 후보를 추천했는데, 미래문화자산 추진단의 분류와 검토, 현장조사 등을 거쳐 15개를 서귀포시 미래문화자산으로 선정했다. 올해는 34개 후보를 놓고 신청이 접수됐고, 선정을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 서귀포시문화도시센터와 서귀포신문이 지역파트너쉽 사업으로 추진하는 기획취재입니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