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산과고, 군특성화부
입대 후 전문 분야 보직
복무 중 전문학사도 취득

지난달 29일 3학년 군특성화부 학생들이 통신과 관련해 장비를 이용한 실습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배에 상황 발생 시, 구조 요청을 연습하는 교육 과정이다.
지난달 29일 3학년 군특성화부 학생들이 통신과 관련해 장비를 이용한 실습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배에 상황 발생 시, 구조 요청을 연습하는 교육 과정이다.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김수환 교장, 이하 산과고)는 지난달 28‘2024년 군() 특성화고 지원 사업의 제5기 발대식(국방부 제17)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날 발대식은 교장 선생님 및 담당 선생님들이 군특성화부 3학년 학생들에게 휘장을 수여하고, 해군 정보통신학교 통신교관실 선임 교관, 7기동전단의 모병과 군악 밴드가 발대식에 참가해 축하공연과 해군 및 직별에 관한 강연을 진행해 선발자들을 격려하는 시간을 가졌다.

지난달 28일 ‘2024년 군(軍) 특성화고 지원 사업’의 제5기 발대식
지난달 28일 서귀산과고에서 진행된 ‘2024년 군(軍) 특성화고' 제5기 발대식

교육부와 국방부에서 추진 중인 인력 맞춤형 군특성화고교 지원 사업은 군 입대 전 군에서 소요되는 첨단장비 기술 전문 인력을 맞춤형으로 양성하는 제도이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인성 및 리더십에 집중한 군특성화 예비반으로 1, 2학년을 거쳐 3학년 1년 교육과정으로 학과 편성에 따라 군 기술교육과 군 리더십교육을 이수하게 된다.

고교 졸업 후 입대해 군 복무 중 전문 분야에 보직하며 해당 분야 경력과 전문성을 개발한다. 희망자는 의무복무 후 6~48개월 동안 임기제 부사관으로 군에 복무할 수 있다. 군 복무 중 군복무학위과정(e-MU) 제도를 통해 전문학사도 취득할 수 있다. e-MU 제도는 교육부와 대학, 군이 협약으로 직업 군인에 대한 공학교육 및 학사학위 취득 기회를 부여하고자 산업체 위탁교육으로 운영하는 학위 과정이다. 현재 인하공업전문대, 구미대, 대덕대, 경기과학기술대, 전남과학대, 경북전문대 등 총 6개 대학·14개 학과가 운영되고 있다.

군특성화고교 누리집에 따르면 전국의 군특성화고교는 총 45개교로 제주에서는 유일하게 산과고에서 통신운용 분야로 운영한다. 산과고는 2020년도부터 군특성화고를 시작했다. 2020년도에 1학년으로 입학해 3년 과정을 거쳐 군특성화고 교육 과정을 이수한 2022학년도 통신전자과 군특성화부 졸업생 19명은 지난해부터 해군에서 20개월의 병역 의무 중이다. 이 중 14명은 인하공업전문대학 정보통신과(13), 경기과학기술대학 전자공학과(1)에 입학해 병영과 학업을 병행하고 있다.

송대들보 교사(통신전자과 군특성화부)부사관으로 입대할 경우에는 군특성화부 기간 동안 취득한 관련 기능사 자격증이 가산점이 된다라며 학교에서는 자격증을 취득하도록 지원 및 독려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