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지난 21일 오후 제주도청 자유실에서 제주교육발전특구 추진을 위한 실무협력단 첫 회의를 개최해 구체적 실행방안을 논의했다.

도와 도교육청은 지난 228일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에 따라 도지사와 교육감을 공동위원장으로 하고 대학·협력기관·민간기업 기관장 및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제주교육발전특구 추진단을 구성했다.

추진단은 지역별 특성에 적합한 특구 운영방안 논의, 주요 사업 발굴 및 특례 제안, 과제 추진을 위한 기관 간 협력체계 마련, 지역기업, 도민 등 의견 수렴, 교육발전특구 사업 주기적 점검 및 관리에 관한 사항 등을 추진한다.

21일 열린 첫 회의는 공동단장과 각 사업 담당 실국장, 대학·협력기관 담당 부서장 및 외부 전문가가 참여해 특구 시범운영 추진과제의 구체적인 실행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특구 추진을 위한 3개 전략·9개 추진과제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실행방안과 함께 지속가능한 정책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추진기관 및 부서 간 협력방안 등을 마련했다.

3대 전략별 추진과제는 제주만의 차별화된 교육모델 창출을 위한 제주형 글로벌 인재양성, IB프로그램 확대 운영, 지역인재 전형 확대,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맞춤형 교육 추진을 위한 지역 맞춤형 인재 양성, 맞춤형 다문화 교육 추진,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 ‘모두가 함께하는 책임교육 강화를 위한 제주형 늘봄학교 확대, 촘촘한 학교 안전망 구축, 정주 생태계 여건 개선 등이다.

도와 도교육청은 제주교육발전특구 세부 운영계획을 확정하고 이달 말까지 교육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후 교육발전특구추진위원회 심의를 거쳐 세부운영계획이 최종 확정되면, 지방교육재정 특별교부금(30~100억 원)을 지원받아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

김애숙 정무부지사는 교육발전특구를 성공적으로 추진해 미래세대를 위한 튼튼한 기반을 마련해 나가기 바란다라고 강조했다.

오정자 도교육청 정책기획실장은 인재가 모이는 활기찬 제주 만들기를 위해 지역 공교육을 혁신하고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라며 지역인재 양성과 정주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교육발전특구 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