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에서 이뤄지는 관광개발 사업이 실속 없이 추진되면서 ‘빈 수레가 요란하다’ 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대규모 관광개발 투자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제주도의 홍보를 무색케 하듯, 실제 공정률이나 투자규모, 고용창출 효과가 미미한 까닭에서다.

2002년에 국제자유도시법이 제정될 당시, 제주도는 외국인들의 투자 쇄도가 예상되는 만큼 도민들도 국제 마인드를 서둘러 갖춰야 한다고 장밋빛 환상을 심어줬다. 하지만 서귀포시에 추진 중인 국제자유도시 6대 핵심 프로젝트의 추진실적은 평균 11% 수준의 초라한 성적표를 남기고 있다. 

행정효율을 내세워 관광개발 사업에 따른 인․허가 기간을 대폭 단축한 특별자치도 출범 이후에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서귀포지역 관광개발에 대규모 자본이 투자돼 지역경제 활성화와 균형발전에 도움 주고 있다는 도 당국의 홍보와 달리, 실제 주민 고용실적은 미미하고 인구는 계속 유출되고 있다.

물론 도 당국이 관광개발 사업의 일방적 홍보에 열을 올리는 데는 이유가 있을 터이다. 주민들에게는 새로운 비전과 희망을 심어주고, 외국자본 등 민간 자본가에게는 투자가치를 높여 투자유치에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려는 의도는 충분히 이해된다. 단체장들이 재임기간 중 실적을 부풀리기 위한 홍보 도구로 활용하려는 측면도 얼핏 감지된다. 

하지만 주민들의 피부에 와 닿지 않게 숫자놀음에만 얽매인 관광개발 정책은 이제 냉철히 되돌아봐야 할 시점에 와 있다. 각종 관광개발 때마다 사업자와 주민들, 또는 주민들간 갈등양상은 여전히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주민들의 삶의 터전이 개발목적인지 투자 목적인지 하루아침에 개발사업자에 바쳐지고 공동체마저 와해된다면 과연 누구를 위한 개발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지역주민을 배제하고 후유증만 오래 남는 관광개발이 아닌, 지역주민과 개발사업자 모두에게 실질적 이익을 안겨주는 관광정책 패턴을 새로이 정립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민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