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2일 실시되는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5일 앞으로 바짝 다가왔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뚜렷한 현안이 없는 데다 유권자들도 먹고 살기가 여전히 힘들어 선거에 대한 관심은 낮은 편이다.

 무엇보다 제주도지사 선거과정에서 사상 유례를 찾기 힘든 돌출변수가 수차례 불거지면서 교육감이나 도의원 등 여타 선거에 대한 관심을 떨어뜨렸다. 지난 20일부터 공식 선거운동기간에 들어간 이후에도 무소속 도지사 후보의 단일화, 전 도지사의 선거운동 가세 등으로 선거 분위기는 한치 앞을 내다보기 힘들 정도다.

 유권자들은 도지사 후보들의 정책 공약들을 비교 점검하기는 뒷전이고, 도지사 후보들간 합종연횡 등 '장외 대결'에만 온통 관심을 기울이는 분위기다. 공무원들의 줄서기 행태가 표면상 줄어든 것은 바람직하지만, 지역현안에 대한 정책토론 보다는 지연· 혈연· 학연 등에 얽매이는 제주 전통의 '궨당 문화'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그럼에도 제주경실련 등 시민단체에서 도지사 후보들에 대한 정책공약 분석결과를 내놓아 매니페스토 정책 대결의 장으로 이끌어 가려는 시도는 특기할 만하다. 일부 언론에서도 후보들에 대한 정책공약을 수시로 소개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얼굴 알리기에 힘든 교육감, 도의원 후보들의 정책 비전을 유권자들에 전달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도지사 후보에 대한 뜨거운 관심 이면으로 서귀포 지역 도의원 선거에서는 과열 혼탁 조짐이 엿보이고 있어 우려감을 자아내고 있다. 서귀포선거관리위원회에서 금품 음식물 제공과 호별 방문 등으로 벌써 12건의 불법선거 운동행위를 단속한 사례가 이를 뒷받침한다. 일부 접전 지역에서는 후보들간 공식선거운동 이전부터 차량 미행감시와 동영상 촬영, 금품 살포 제보 등이 잇달아 향후 선거 판도가 더욱 음울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두말할 나위 없이 이번 지방선거는 앞으로 4년간 제주도와 서귀포의 미래를 이끌어 갈 지도자를 선택하는 중요한 이벤트다. 급변하는 디지털 사회에서 향후 4년은 제주도와 서귀포가 그간의 장기 침체를 벗어나느냐, 지속하느냐를 가름 짓는 중요한 시기다. 유권자들은 도지사 선거구도에 관심 못지않게 여타 선거에도 관심을 갖고, 투표장에 가기 전에 각 후보들의 공약을 한번이라도 차분히 들어보게 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