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중문관광단지 매각이 막바지 단계에 들어서고 있다. 정부의 공기업 선진화 정책에 따라 한국관광공사가 중문골프장과 관광센터 토지 및 건물, 야외공연장, 분양 잔여토지 등에 대해 민간 매각을 강행하고 있다. 제3차 공개경쟁 입찰을 통해 두 군데 민간업체가 인수의향서를 제출해 이르면 내달 초 우선 협상자가 선정돼 중문관광단지가 매각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그동안 30여년 전 중문단지 조성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의 삶의 터전이 헐값에 매각된 점 등을 들어, 민간매각에 줄곧 반대해 왔다. 지역주민과 시민들도 중문단지가 그동안 지역경제와 제주관광에 나름대로 기여해 온 점에 대해 자부심으로 간직해 왔다. 비록 사업추진 과정에서 적잖은 문제가 파생됐으나, 국내 최초의 관광단지 건립으로 관광 제주의 초석을 다진 공로에 대해서는 높이 평가하고 있다.
37개 시민사회단체가 지난해부터 범시민운동본부를 구성해 민간매각 저지에 나선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다. 그동안 범시민운동본부에서 5만명 서명, 중앙 부처 방문, 국회 참고인 출석 등을 통해 줄기차게 민간매각 반대에 나섰으나, 정부는 마이동풍으로 일관하고 있다. 당초 사업주체가 공기업이란 점에서 마지못해 헐값에 땅을 내놓은 주민들도 이제 민간에 되팔겠다는 정부방침에 배신감을 곱씹고 있다.
문제는 정부가 공기업 선진화라는 미명아래 중문관광단지를 퇴출대상에 포함한 이유가 여전히 납득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지난해 연간 600만명의 관광객이 찾은 중문단지는 국내의 대표적 관광단지이자 땀과 열정의 발자취가 깃든 대한민국의 공공재원이라 할 것이다. 이윤창출을 우선시하는 민간기업이 중문단지와 골프장을 운영할 경우 환경보전은 뒷전인 채 상업주의가 활개를 치면서 도민들의 소외감은 더욱 깊어질 것이다.
중문단지 공정률이 아직 60%인 상태에서 민간 매각이 이뤄지는 것은 국가와 공기업의 책임과 의무를 저버리는 처사에 다름 아니다. 그동안 중문관광단지에서 거둬들인 막대한 개발 이익금도 지역에 재투자될 조짐이 엿보이지 않고 있다. 지역주민들에 절망과 상실감을 강요하는 중문단지 민간매각은 분명 재고돼야 한다. 제주도와 도의회는 도민의 운명과 지역경제의 생존이 내걸린 이번 사안에 대해 목소리를 더욱 높여야 할 것이다. 중문단지가 완공되고 개발이익이 지역에 재투자한다는 당초 약속이 실현된 이후에 민간 매각이 추진되도록 끝까지 총력을 모아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