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규모 학교 통폐합 논란으로 지역사회가 한바탕 소용돌이에 휘말렸다. 서귀포시 초등학교 3곳이 분교장 개편대상에 편입되면서 교육당국과 지역주민 간에 팽팽한 갈등이 이어졌다. 다행히 지역주민과 제주도의회, 언론계 일각의 노력에 힘입어 통폐합 논란은 일단 수면 아래로 내려갔다. 하지만 교육당국은 경제성 논리 등을 앞세워 소규모학교 통폐합을 수차례 시도한바 있어 여전히 불씨는 사라지지 않은 상태다.

 소규모학교 살리기에 대한 해법을 모색코자 본지는 도내․ 외 우수사례를 탐방하며 6회에 걸쳐 기획기사를 게재했다. 이번 기획을 접하노라면 소규모학교 문제는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전국의 공통적인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갈수록 농어촌 인구가 줄어드는 마당에, 뾰복한 해법이 없이 행정과 지역사회 간 갈등 요인만 깊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일부 지역에선 학교와 지역사회, 교사들의 헌신적 노력으로 소규모학교를 명문 학교로 키워내고 있다. 지역특성에 맞는 특성 교육프로그램을 선보이며 학생 수가 오히려 증가추세로 돌아서고 있다. 제주지역처럼 굳이 공동주책을 건립하지 않고도 개별 특성을 살린 교육과정 운영으로 학부모들의 관심을 불러 모으고 있다.

 ‘작은 것이 아름답다’란 말도 있듯이 학생 수가 적으면 학생 개개인에 적합한 맞춤형 교육이 펼쳐질 수 있다. 최근 서귀포지역에는 대도시에서 벗어나 쾌적한 전원에서 제2의 삶을 일구려는 귀농귀촌 인구가 크게 늘고 있다. 사교육과 무거운 책가방에 짓눌린 자녀들에게 대자연에서 마음껏 뛰놀게 하려는 것도 귀농귀촌 동기의 하나다. 이제 교육당국은 소규모학교에 대한 종전 관념을 바꿔야 할 것 같다. 학교가 사라진 농어촌은 아무도 찾지 않는 ‘죽음의 공간’이 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